동구 신중년 인구 23,848명, 취업·창업 연계형 맞춤형 창업지원 정책 제안
광주시 동구의회(의장 문선화)는 이지애 의원이 10일 동구의회 본회의에서 신중년 세대의 일자리 문제를 주제로 5분 발언을 진행했다.

이 의원은 발언을 통해 “신중년층은 부모 부양과 자녀 지원의 이중 부담 속에 퇴직 후 단순·저임금 일자리에 머무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며, “광주시와 동구의 신중년 일자리 사업 또한 월 50~67만 원 수준으로 생계 대안이 되기 어렵고, 최저임금과 4대 보험이 보장되던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사업’은 올해 중단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 의원은 ▲신중년 일자리 예산 확대 및 정책 인식 전환 ▲‘인생 3 모작 프로그램’의 취·창업 중심 개편 ▲신중년 맞춤형 창업지원 및 사후관리 체계 구축 등 세 가지 정책 과제를 제안했다.
이지애 의원은 “동구 인구의 22.6%를 차지하는 신중년을 위한 일자리 예산은 연 2억 2천만 원에 불과한 반면, 노인 일자리에는 156억 원이 투입되고 있다”며, “단순 교양 위주의 인생 3 모작 프로그램을 자격과정 중심으로 개편하고, 일자리 부서가 직접 운영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중년은 경험과 기술을 갖춘 인적 자원”이라며 “이들이 지역사회와 경제의 주체로 설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과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중년’은 일반적으로 50세 이상 64세 이하를 일컫는 말로, 여전히 건강하고 경력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세대다.
관련기사
- 문선화 동구의원, ‘2025 거버넌스 지방정치대상’ 우수상 수상
- 박종균 동구의원, “매일 50분 통학... 지원2동 중학교 없어 주민 고통” 대책 촉구
- 광주 동구의회, 5·18 민주묘지 참배
- 광주 동구의회 · 화순군의회, 고향사랑기부금 상호 기부로 상생 협력 강화
- 이지애 동구의원 ‘대한적십자사 헌혈홍보위원’ 위촉
- 광주 동구, “올해도 더워”... 여름철 폭염 대응에 박차
- 광주 동구, ‘도심 속 힐링’… 2025 충장 라온 페스타 개막
- 광주 동구, ‘청년이 묻고 답하다’... 청년창업 네트워킹데이 성료
- 노진성 동구의원,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 발의
- 광주 동구, 동명동 ‘로컬 콘텐츠 타운’ 만든다
- 광주 동구의회, 국외 연수 계획 철회… “지금은 민생이 먼저”
- 문선화 동구의회 의장, 현장에서 답을 찾다
- 김현숙 동구의원, 가로수 제거 절차 문제 제기
조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