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구‧의회‧주민‧전문가15명 구성…정보공유·모니터링 활동

복합악취 측정 결과 19일 기준(500이하)보다 2배(1000) 배출

민관합동TF 1차회의서 SRF시설 가동중지와 속도감있는 특단대책 요구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양과동 위생매립장 내 가연성폐기물연료화시설(SRF제조시설) 악취 개선을 위한 ‘민관합동 전담팀(TF)’을 지난 21일 출범,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광주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

민관합동TF는 효천1,2지구 주민대표 5명, 광주시의회 최지현·임미란 의원, 남구의회 노소영 의원, 환경전문가 3명, 광주시‧남구 담당공무원 4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됐다. 또 자문위원으로 김병내 남구청장과 강성곤 정진욱국회의원실 사무국장, 조재옥 진보당 광주시당 남구공동위원장이 참여한다.

앞서 지난 14일 강기정 시장과 김병내 남구청장은 주민간담회에서 SRF제조시설 인근 악취 개선을 위해 ▲악취 문제 발생에 따른 법적인 행정절차 신속 진행 ▲광주시, 자치구, 주민, 전문가 등이 참여한 민관합동전담팀(TF) 구성을 통한 SRF시설 악취 해결방안 논의 등을 약속했으며, 민관합동TF는 이에 대한 후속 조치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지역주민 대표들은 지난 21일 열린 민관합동TF 1차 회의에서 ▲SRF 가동중단 ▲악취 상시 모니터링 ▲악취관리지역 지정 ▲악취에 포함된 성분분석 ▲시설 운영상황 투명한 공개와 감시 등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와 남구는 ▲악취발생 시간대 포집 ▲신속한 행정처분 ▲악취관리지역 지정 검토 ▲악취 전문기관 기술자문 ▲악취 성분분석 등을 약속했다. 

광주시와 남구는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지난 15일부터 SRF시설과 인근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매일(시간대 불특정) 복합악취를 측정하고 있다. 측정 결과 지난 19일 생산 가동 중 배출구에서 악취희석배수가 기준치(500이하)보다 2배 초과한 ‘1000’이 측정된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SRF제조시설을 운영하는 ‘청정빛고을’에 관련 법령 준수, 광주시와 사업협약에서 보증한 악취 성능보증기준 준수 등을 요구했다. 또 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과 함께 자체 가동중지 등을 포함한 특단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