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수군 활약상’ 학술대회서 역사문화자원 활용 모색
전라남도는 29일 여수진남문예회관에서 ‘최초 삼도수군통제영, 여수’를 조명하는 학술대회를 열어 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안 등을 모색했다.

전남도와 여수시가 공동 주최하고, (사)여수종고회가 주관한 학술대회는 ‘전라좌수영 겸 최초 삼도수군통제영 수군의 활약상’이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김영록 전남도지사, 역사학계 임란사 전문가, 지역연구자 등이 참여해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눴다.
임진왜란 때 나라의 운명은 전라좌수영 수군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정에선 그 중요성을 인식해 전라좌수사 이순신 장군에게 삼도수군통제사를 겸직하도록 했다.
여수는 조선 수군이 백성과 함께 국난을 극복한 상징적 공간이며 이순신 장군의 구국정신이 살아 숨 쉬는 대한민국 해양 영토 수호의 출발점 역할을 했다.
전남도는 이같은 지역의 역사와 충의(忠義) 인물을 재조명해 현창하는 일이 당연한 도리이자 후대에 대한 책무라 여겨 관련 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학술대회 역시 그 일환으로 추진됐다.

행사에선 이민웅 대구 카톨릭대 교수의 ‘임진왜란 시기 삼도수군의 조직과 병력사항’을 시작으로 임원빈 이순신리더십연구소 소장의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제장명 순천향대 이순신연구소 소장의 ‘임진왜란 시기 주요 해전과 흥양수군의 역할’ 등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종합토론에선 한명기 명지대 교수를 좌장으로 발표자와 지정토론자, 청중이 참여해 역사문화자원 활용을 위해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김영록 지사는 격려사를 통해 “여수가 최초 삼도수군통제영이었다는 역사 사실을 더욱 탄탄히 고증하고, 홍보해야 한다”며 “‘전라좌수영 성 복원’과 ‘이순신 호국 문화관광벨트 구축’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전남도, 올 한해 인재 1만명 육성
- 김정완 광양시 부시장, 전남도 찾아 내년도 전환사업 건의
- 전남도, 저탄소 축산물 인증 89농가 3년 연속 전국 1위
- 전남도, 내년 정부예산안 9조 4천억 원 반영... '사상 최대'
- 전남도, '한빛원전 방사능 방재 합동훈련' 준비 이상 무
- 전남도, 주한외교사절단 초청…수묵비엔날레 국제 위상 높여
- 전남도, 고령층·감염취약시설 코로나19 예방관리 강화
- 전남 미래 혁신인재 육성 ‘호남청년아카데미’ 7기 개강
-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성공 기원 ‘여수음악제’ 개막
- 고흥군, ‘실내 드론 체험 놀이터’ 준공
- 전남도, 신혼·다자녀가정 ‘내 집’ 마련 돕는다
- 전남도 지역주민-귀농어귀촌인 잇는 ‘어울림마을’ 호응
- 전남바이오진흥원, 수해 피해 농가 찾아 ‘ESG 지역사회공헌’ 실천
- 여수시의회, ‘손끝으로 전하는 청렴의 약속’ 캘리그라피 전시 개최
- 순천시의회, 2일 제289회 임시회 개회
- 순천시, 소상공인·시민과 함께 치유상품개발 전략 모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