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차 호우피해 생활안정지원금 258억 추석 전 신속 지급
주택침수세대 최대 900만 원 지원… 시설복구 564억 원 투입
호우 침수 피해 재발 방지에 3단계 근본 예방대책도 마련
1단계 차수판·신안교 등 응급조치, 상생카드 특별할인 시행
2단계 신안교 구조개선·방재시설 설치… 3단계 복개하천 복원
강기정 시장 “피해 시민들 위로… 재난에 안전한 도시 총력”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지난 여름 극한호우에 따른 피해 복구를 위해 총사업비 822억 원을 긴급 투입, 시설 복구와 시민 생활안정 지원에 나선다.

특히 신속한 민생안정을 위해 생활안정지원금을 추석 전 지급키로 하고, 행정절차를 최대한 단축할 방침이다.
광주시는 또 시민 긴급 지원과 함께 침수피해 재발 방지를 위한 단계별 근본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4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5개 자치구와 함께 ‘광주시민 생활안정을 위한 호우피해 복구 및 침수 예방 대책’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은 내용의 대책을 발표했다.
광주지역은 지난 여름 두 차례 극한호우(7월 16~19일, 8월3일)로 인해 사망 2명, 재산피해 1만5871건(공공시설 414건 약 228억 원, 민간시설 1만5000여건 100억 원)이 발생했다. 또 호우로 인한 일시대피자는 286세대 417명에 달했다.
이같은 극심한 피해로 정부는 북구 전 지역과 광산구 어룡동·삼도동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 사업비 822억 원 긴급 투입… 시민 생활안정 최우선
광주시는 먼저 사업비 822억 원을 투입,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공공시설을 신속 복구하고 침수피해 주민들에게 생활안정 지원금을 지급한다.
광주시는 사업비의 51.7%에 달하는 425억 원을 국비로 확보했으며 시비 143억 원, 구비 232억 원, 기타 22억 원을 긴급 투입한다. 공공시설 복구에는 564억 원이 투입된다.
주택 침수 및 소상공인 피해에 따른 주민생활안정을 위해 258억 원을 지원한다. 주택 침수 세대에는 최대 900만 원(재난지원금 700만 원, 의연금 200만 원), 소상공인에게는 최대 1000만 원(재난지원금 800만 원, 구호기금 200만 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지원금은 위로금이 추가돼 기존보다 2배가량 확대됐다.
특히 피해 주민 지원금을 추석 전까지 지급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광주시는 예산 편성과 행정 절차를 최대한 단축할 예정이다.

◇ 중장기 대책 수립… 침수피해 근본 해결
광주시는 반복되는 호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근본적인 침수문제 해결 대책을 단계별로 추진한다. 근본대책은 3단계로 추진된다.
응급 복구와 긴급 조치에 해당되는 1단계 긴급대책으로 ▲특별재난지역 광주상생카드 특별할인(53.4억 원) ▲신안교 옹벽 하부 배수구 설치와 상부 아크릴판 철거 등 신안교 일원 배수능력 개선(1.5억 원) ▲신안교 일원 배수펌프 설치(10억 원) ▲침수 피해 이력이 있는 주택 및 상가 등 1300곳에 차수판 설치(40억 원) 등 4개 사업에 104억여원을 투입해 추진 중이다.
2단계 중기 대책으로 ▲신안교 일원 구조 개선(총 600억 원) ▲우수저류시설 설치(4개소, 총 854억 원)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2개 지구, 541억 원) ▲하천 주변 저지대 배수펌프시설 설치(5개소, 805억 원),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사업(4개소, 1549억 원) 등 18개 사업 총 4349억 원이 집중 투입된다.

3단계 장기 대책으로 양동 복개상가와 서방천 복개도로의 하천 유수(流水) 기능 회복을 위한 ▲복개하천 복원 사업(양동 복개상가 1조738억 원, 서방천 복개도로 6000억 원) ▲우수저류시설 등을 지속 추진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극한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시민들께 다시 한 번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신속한 복구 지원과 함께 근본적인 재난예방시설을 구축해 ‘재난에 안전한 도시’를 만드는데 모든 행정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 광주시, 9월 한달간 '자살예방 활동' 펼친다
- 광주시-17개 대학, ‘광주RISE 비전’ 선포
- 강기정 광주시장, 세계양궁선수권대회 개막 오프닝 쇼 ‘활의 나라’ 참석
- 광주시, 제29회 건축상 최우수작품 선정
- 광주시, 인문투어 ‘소년의 길’ 9월 재개
- 광주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용역 중간보고회
- 광주시, 청렴캠페인 ‘청렴충전소’ 개최
- 광주시, 삼거동 위장전입 관련자 업무방해로 고소키로
- 광주 동구, 제2회 고향사랑기부제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 강기정 광주시장, 광주연구원 개원 2주년 기념 '정책토론회' 참석
- 한양임 북구의원, 광주 자치구 최초 ‘건강주치의제 운영 및 지원 조례’ 발의
- 전남대, ‘스마트 장비 기술 활용 직무교육’ 성료
- 전남대 수의대, 세계 8위 NUS와 글로벌 연구협력 '맞손'
- 광주 대표 문화축제... 대인야시장, 가을밤 더 풍성한 예술밥상 차린다
- 광주농업기술센터, 추석맞이 예초기 무상점검
- 조인철 의원, ‘AI 데이터 이용 정책’ 제1차 토론회 공동 주최
- 박현석 광산구의원, “광주 군공항·탄약고·방공포대 통합이전해야”
- 광주광역시의회, 5일 제336회 임시회 폐회
- 광주여성가족재단 대표·광주테크노파크 원장 인사청문특위 활동 본격 개시
- 삼도농협, 영농폐기물 수거로 깨끗한 농촌 만들기 앞장서
- 이병훈, ‘지역이 강해야 대한민국이 산다’... 광주 리모델링 출판 '토크콘서트' 성료
- 정상용 북구의원, ‘시각장애인 현장영상해설 지원 조례안’ 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