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AI 산업 도약 신호탄... 전남 서남권에 한국형 ‘스타게이트’ AI 데이터센터 만드는 협약 체결
전라남도가 세계 AI 산업의 중심지로 한 단계 도약할 전망이다.
SK그룹과 글로벌 AI 선도기업 오픈AI가 초대형 합작을 통해 전남 서남권에 오픈AI 전용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기로 확정했다. 이는 대한민국은 물론 아시아 전체의 AI 허브로서 전남의 위상을 크게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1일 서울에서 만나, SK하이닉스의 HBM(고대역폭메모리) 반도체 공급과 더불어, 전남 서남권에 한국형 ‘스타게이트’ AI 데이터센터를 만드는 협약을 체결했다. SK텔레콤은 오픈AI와 함께 데이터센터 구축 및 차세대 AI 솔루션 공동 개발에도 나선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오픈AI가 추진중인 대규모 AI 인프라 구축 과제를 일컫는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AI 대전환의 핵심 인프라가 될 뿐만 아니라, 지역 균형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SK가 추진 중인 ‘울산 AI 데이터센터’와 더불어, 동서로 이어지는 AI 벨트를 구축하며 전남지역이 첨단산업 중심지로 도약할 밑거름이 될 전망이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글로벌 AI 산업 중심에 우리 도가 자리하게 됐다”며 “지역경제 활성화, 신성장동력 확보, 전남 청년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환영했다.
이어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AI 데이터센터 증심이자, AI 수도가 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최상의 여건으로 뒷받침 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전남이 대한민국 AI 생태계 확장과 국가 경쟁력 강화의 선봉에 설 것으로 주목된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챗GPT 개발업체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를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만나 오픈AI와 국내 기업들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자리에는 삼성그룹 이재용 회장과 SK그룹 최태원 회장도 동석했다.
- '코스트코 순천 상륙', 남해안권 글로벌 경제중심도시 위상 입증!
- 더불어민주당-전남도, 예산정책협의회 개최
- 김정희 교육위원장, 추석 맞아 전통시장 장보기로 지역사랑 실천
- 김영록 지사, “담양을 일상 속 쉼과 정원문화도시로”… '2025 미래비전' 제시
- 전남도, 완도-제주 간 해상경계 권한쟁의심판 강력 대응
- 전남도, 광양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
- 전남도-소상공인연합회,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비진작 캠페인
- 전남도, '추석 연휴 쓰레기 수거일'... 시군 누리집서 미리 확인하세요
- 전남도, 'RE100 산단' 재생에너지 공급 기반 조성 준비 착착
- 김태균 의장, “행복은 외적 조건 아닌 마음속에서 비롯”
- 김영록 지사, “전라남도 통합대학교 국립의과대학 신속 신설” 강력 건의
- 김영록 지사, 핵심 전력망 설비 국가기간 전력망 설비로 지정 환영
- 서삼석 의원, “산불상황관제시스템”... 무용지물 비판
- 전남 갯벌, 세계유산 확대 등재 위한 현장실사 완료
- 전남도, ‘똑똑하게 일하기 10대 프로젝트’ 본격 추진
- 한전, 전력분야 우수 중소기업 금융지원 확대
- 농어촌공사 ‘인공지능 교육’ 통해 ‘AI활용 역량’ 강화한다!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웹툰 부스트 캠프’ 2차 참가자 모집
- 완도군, 추석 명절 맞아 ‘청렴 실천 캠페인’ 전개
- 광주시, 시민 대상 ‘주민자치 공동체교육’ 실시
- 광주시, “전광판 등 홍보매체 무료 이용사업” 운영
- 농협광주본부, 깨끗한 농촌 만드는 ‘농심천심 광주 플로깅 & 농촌체험’ 행사 개최
- ‘벼 깨씨무늬병 피해 농업재난재해 인정' 건의
- 강진역 개통 후 부산 관광객 첫 강진 방문
- 한전KDN, 2025년 청렴시민감사관 위촉 및 정기회의... '청렴 경영 강화' 모색
- “세계인이 몰려온다”... 해남군, 손님맞이 대한민국 새단장 캠페인
- SK그룹, 2026년 사장단 인사 통해 현장 중심 리더십 강화하나?
- SK그룹, 엔비디아와 협력한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내용은?
- SK AI 서밋 2025, 최태원 회장이 제시한 AI 혁신 방향은?
- SK 최태원 회장, 도쿄포럼 2025 발언 내용은?
- SK그룹은 올해 수출액 급증을 통해 어떤 성과와 구조 개선 효과를 보였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