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주관 ‘광주형 RE100 산업단지 기획위원회’ 출범
24일(금), GIST 오룡관에서 산·학·연·관 16개 기관 참여한 협력 플랫폼 구성 및 첫 회의 개최… 정부 탄소중립 정책 기조 맞춰 산업단지의 100% 재생에너지 전환 위한 실행전략 논의
위원장에 GIST 김윤수 교수(전력망연구센터장) 선임하고 재생에너지 확충 및 기업 참여 확대 모색… GIST, 연구·기술 지원 및 실증기반 구축 강화 추진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기조에 발맞춰 ‘광주형 RE100 산업단지 기획위원회’ 출범식 및 제1차 회의를 10월 24일(금) GIST 오룡관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위원회는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자는 국제 캠페인인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의 실현을 위해, 광주 산업단지의 정책·기술·산업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산업단지의 에너지 전환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해 구성됐다.

주요 과제로는 ▴광주 산업단지의 RE100 이행 현황 및 문제점 진단 ▴실행 가능한 추진 방안 발굴 ▴정부 사업과의 연계 전략 마련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RE100 관련 정책·사업·R&D를 통합적으로 연계해 실질적인 실행전략을 도출할 예정이다.
-
“실제로 바닷속에 있는 듯”... GIST, 고막이 느끼는 압력 VR로 재현하는 압력 피드백 기술 세계 최초 개발
- “미래 에너지 과학을 체험하다”... GIST, 어린이·청소년 대상 ‘태양광 에너지 리터러시 & 메이커톤’개최
- GIST, 며칠씩 걸리던 반도체 시뮬레이션 속도 최대 100배 향상… 차세대 소자 개발 가속화
- GIST, 고차원 물리 문제도 안정적으로 푸는 AI 학습 기술 개발
- GIST, ‘2025 아트 사이언스 페스티벌’서 태양광 로봇 체험 프로그램 운영
- GIST, 새롭게 지은 정문 완공 기념 네이밍 이벤트 개최... 31일까지 접수
협의체는 광주광역시, 광주경제자유구역청, GIST, 한전KDN, 한화신한테라와트아워, LS일렉트릭, 광주광역시도시공사, 기업재생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 전남대학교,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광주테크노파크 등 산·학·연·관 16개 기관의 전문가로 구성됐으며, 위원장에는 GIST 김윤수 전력망연구센터장(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이 선임됐다.

‘RE100 선도도시 광주’ 실현을 목표로 추진 중인 광주형 RE100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구체적 이행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이날 회의에서는, 영농형 태양광 사업 추진과 산업단지 내 재생에너지 확대방안 등 단기 실행과제와 함께 에너지저장(ESS) 인프라 확충, 기업 참여 확대 방안 등 중장기 추진전략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광주형 RE100 산업단지 기획위원회가 광주 산업단지의 지속 가능한 에너지 구조 전환을 이끄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정기적인 회의를 통한 정책 제안과 실증사업 연계 추진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김윤수 위원장(GIST 전력망연구센터장)은 “광주형 RE100 산업단지 기획위원회는 산·학·연·관이 협력해 실행 가능한 내륙도시형 RE100 모델을 만들어 가는 구심점이 될 것”이라며, “광주가 국내 RE100 산업단지의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논의와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박준식 광주광역시 에너지산업과장은 “광주가 RE100 선도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위원회를 중심으로 정책·기술·산업이 함께 발전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GIST는 이번 기획위원회 출범을 계기로 산업단지의 RE100 실현을 위한 연구·기술지원 및 실증기반 구축을 강화하고, 향후 ▴AI 기반 전력망 최적화 ▴분산형 에너지 관리 ▴지역 맞춤형 RE100 모델 개발 등 후속 연구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GIST는 오는 11월 6일(목)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BIXPO 2025 광주 에너지 이노베이션 컨퍼런스 – RE100 산업단지 활성화’를 개최해, RE100 산업단지 구현 전략 및 지역 기업 협력방안을 주제로 한 전문가 세션을 운영할 예정이다.
- “실제로 바닷속에 있는 듯”... GIST, 고막이 느끼는 압력 VR로 재현하는 압력 피드백 기술 세계 최초 개발
- “미래 에너지 과학을 체험하다”... GIST, 어린이·청소년 대상 ‘태양광 에너지 리터러시 & 메이커톤’개최
- GIST, 며칠씩 걸리던 반도체 시뮬레이션 속도 최대 100배 향상… 차세대 소자 개발 가속화
- GIST, 고차원 물리 문제도 안정적으로 푸는 AI 학습 기술 개발
- GIST, ‘2025 아트 사이언스 페스티벌’서 태양광 로봇 체험 프로그램 운영
- GIST, 새롭게 지은 정문 완공 기념 네이밍 이벤트 개최... 31일까지 접수
- 면접 중심 선발’GIST, 2026 수시모집 경쟁률 15.49대 1
- GIST, 버려지는 사탕수수 부산물로 고부가가치 ‘D-만니톨’ 친환경 생산 성공
- [내일날씨]'쨍'하고 맑은 날, 바람은 '쌩'하고 춥다…아침 최저기온 -3도, 일교차 주의
- 과학과 예술이 만나는 밤, 설립 32주년 기념... ‘GIST 오페라 살롱’
- 켄텍, 개교 4년 차, 전임 교원 1인당 연구비 2년 연속 ‘전국 3위’
- 급성신부전, 이제 만성으로 악화되지 않는다
- GIST, 차량의 기본 내장 시스템만으로 '생생한 VR 경험 구현하는 플랫폼 개발'
- GIST, ‘2025 과학문화주간 & AI 페스티벌’ 개최... 시민 누구나 함께 즐기는 과학·예술·AI 축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