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시장 요구(안) 전달에 그쳐… 광주시, 구체적 대안 마련 촉구 속 실망감 확산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7일 광주를 방문해 강기정 광주시장과 비공개 면담을 가졌다. 이번 만남은 최근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 무산에 따른 광주 지역의 반발과 후폭풍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중앙정부 차원의 메시지와 지원 방안을 기대하게 한 자리였다.

일각에서는 김 실장이 광주 시민들에게 희망적인 메시지나 실질적인 지원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으나, 이날 면담은 강 시장의 요구사항을 전달받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광주 지역 사회에서는 허탈감과 함께 구체적 대안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강기정 광주시장은 “정책실장이 광주로 올 때는 시민의 허탈함을 최소한 달래줄 수 있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준비했을 거라 기대했다”며 아쉬움을 내비쳤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강 시장은 국가AI컴퓨팅센터가 해남으로 방향이 잡혔더라도, 별도로 광주에 컴퓨팅 자원이 집적되어야만 대한민국이 AI 산업 선진국 반열에 오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는 국가AI연구소 설립과 실증센터 조성 외에도 추가적인 컴퓨팅 자원 확보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용범 실장은 이번 사안의 엄중함과 대통령 공약 이행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고 답하면서, 향후 하정우 AI수석과의 논의를 약속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지원책이나 정책 방향 제시는 없었다는 점에서 광주 시민들은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대통령실의 공식 메시지가 별도로 없었던 점, 그리고 실질적인 대안 마련보다는 광주시의 요구안 청취에 그쳤던 이번 방문에 대해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에서는 “광주의 허탈감을 달래기엔 부족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는 중앙정부의 역할을 기대하기보다, 자구적인 AI산업 후속 전략 마련에 더욱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으로도 광주시와 중앙정부 간 AI산업 협력 구도가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