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가 29일 실적발표회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4조 4,489억 원, 영업이익 11조 3,834억 원, 순이익 12조 5,975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률은 47%, 순이익률은 52%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영업이익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10조 원을 돌파했다.
회사는 D램과 낸드 가격 상승세와 AI 서버용 고성능 제품의 출하 증가가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메모리 수요가 급증했고, HBM3E 12단 및 서버용 DDR5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로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AI 서버 수요 증가에 따라 128GB 이상 고용량 DDR5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2배 이상 늘었으며, 낸드 부문에서도 AI 서버용 기업용 SSD(eSSD) 비중이 확대됐다. 이 같은 성과로 SK하이닉스의 3분기 말 현금성 자산은 27조 9천억 원으로 전 분기보다 10조 9천억 원 증가했다. 반면 차입금은 24조 1천억 원으로 줄며 순현금 3조 8천억 원 체제로 전환했다.
SK하이닉스는 AI 시장이 추론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서버 전반으로 메모리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주요 AI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확장을 추진하고 있어 HBM뿐 아니라 DDR5, eSSD 등 다양한 제품군의 수요가 고르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회사는 서버, 모바일, 그래픽 등 전 제품군에 대해 10나노급 6세대(1c) 공정 전환을 가속하고, 321단 기반 TLC·QLC 낸드 제품 공급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주요 고객사들과 2025년 HBM 공급 협의를 마쳤으며, 업계 최고 속도를 지원하는 HBM4를 4분기부터 출하해 내년 본격적인 판매 확대에 나선다. 급증하는 AI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청주 M15X 공장을 조기 가동하고 생산능력을 확충 중이다. 내년 투자 규모는 올해보다 늘릴 예정이며, 시장 상황에 맞춰 투자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SK하이닉스 김우현 부사장(CFO)은 “AI 기술 혁신으로 메모리 시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며 전 제품 영역으로 수요가 확산되기 시작했다”며 “앞으로도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과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 수요에 대응하며 AI 메모리 리더십을 공고히 지켜가겠다”고 말했다.
- SK하이닉스, 이천 M16팹에 반입한 High NA EUV 장비 특징은?
- SK하이닉스와 네이버클라우드의 AI 설루션 협력 내용은?
- SK하이닉스, UFS 4.0 대비 강화된 ZUFS 4.1 차별점은?
- SK하이닉스, 추석 명절 협력사 지원 조기 지급 내용은?
- SK하이닉스, OCP 글로벌 서밋서 공개한 차세대 AI 낸드 스토리지 전략은?
- JP모건, APEC 주간에 '코스피 관심 종목 발표'하며 "5000간다” 초강세 진단, …’엔비디아 딜’ 기대하며 외국인 1.6조원 순매도에도 4000선 사수
- SK하이닉스, HBM3·HBM3E 제품으로 ‘탄소 저감’ 인증 받았나?
- AI의 지우개, 머신 언러닝이 뜬다… 한국도 ‘잊힐 권리’ 기술 확보 나서
- 오늘 10만전자 회복, “삼성전자 정현호 부회장 전격 사의” TF도 끝… 이재용, 깜짝 실적 뒤 왜 '박학규'를 택했나? 재무·경영통에 대한 증권가 전망
- 코웨이 USA 또 피소…“안마의자 4000대 약속해놓고 1대도 안 샀다” 미국 시장 신뢰 추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