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숍서 기업 육성과 생활·유동인구 확대 등 협력 방안 논의
전라남도와 해양경찰정비창이 12일 지역 수리조선산업 활성화와 상생협력 방안을 주제로 함께 고민하고 소통하는 민관합동 워크숍을 개최했다.
워크숍에선 김원이 국회의원과 전남도, 전남도의회, 해경정비창, 조선산업 혁신기관과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해 해경정비창 개창이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과 공동협력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행사는 해경정비창 추진현황과 향후계획을 공유하고 전남 수리조선산업 현황과 육성 방안, 정비창 개창 연계 서남권 관광 활성화 등을 주제로 발표와 패널토의가 진행됐다.
해경정비창은 국가 해양안전과 장비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함정 정비 전문기관이다. 이번에 건립된 해경정비창은 목포 신항만 허사도 3만 8천 평 부지에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총사업비 2천583억 원이 투입된 최신형 정비창이다.
1천 톤급 이상 대형 함정을 수리할 수 있는 안벽과 플로팅도크 등 상가시설을 갖추고, 연간 40~50척의 함정 정비가 가능하다.
목포 해경정비창 신설로 우리나라는 서해권 정비 거점 구축을 통해 동서 균형 정비체계를 확립하고, 국가 해양안보 대응력과 정비 효율성을 극대화하게 됐다. 또한 수리물량의 일부 지역 발주와 도내 수주 확대 등 지역 수리조선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도 함께 논의하고 있다.
정비창이 가동돼 수리조선산업이 활성화되면 타 시·도 수리·기자재 기업의 전남 이전과 투자 확대도 기대되며, 함정 수리 기간 교육 인원과 수리인력 등 체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유발효과 3천300억 원, 고용유발효과 2천300명 등 상당한 경제 효과가 발생할 전망이다.
해경정비창은 현재 정원 165명을 향후 303명까지 증원할 계획으로, 지역 고용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곽부영 전남도 기반산업과장은 “해경정비창이 전남에 새 터전을 마련하고 지역과 상생협력을 추진하게 돼 매우 뜻깊다”며 “정비창 개창이 전남도의 수리조선산업과 관광 활성화에 새 동력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김영록 전남지사, “농업의 가치 존중받는 전남 함께 만들어가자”
- 전남도, 반려견과 함께 떠나는 남도한바퀴 특별코스 운영
- 전남도, 영농폐기물 집중 수거 나선다... 12월 15일까지
- 전남도, 청정 수산물로 밀라노 동계올림픽 국가대표 응원
- ‘12ᐧ29 여객기참사 피해자 지원ᐧ희생자 추모위원회’ 출범
- 강문성 도의원, “여순사건 지원단, 전문성 강화와 역할 확대로 도민 명예회복 속도 올려야”
- 정철 도의원 “교육장 공모제, 제도적 안착으로 미래교육 모델 완성해야”
- 손남일 도의원, “영산강 자전거길 영암구간 장기 답보… 행정 연속성 확보 시급”
- 전남도, 민간단체와 협력해 취약계층 따뜻한 겨울나기 온힘
- 여수서 대규모 지진 대비 유관기관 현장 협업체계 점검
- 재서귀포시전남도민회, ‘인공태양 연구시설 전남유치’ 지지 선언
- 김영록 지사, 미래 100년 위한 국비 확보 ‘광폭 행보’
- 이동현 도의원, ‘갯벌 환경관리비’ 예산 반드시 반영해야
- 정길수 도의원, 수산자원 회복 위해 도비 지원 확대 시급
- 이현창 도의원, “암흑 굴다리·산사태 방치... 도민안전실 ‘땜질식 행정’ 중단해야”
- 송형곤 도의원, “특허·신기술 이름값에 하도급은 울상...특허공법 불공정 구조 강력 질타
- 김문수 도의원,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지원율 저조... 100% 지원체계 시급
- 전남도,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계획서 제출
- 전남도, 의료·요양·돌봄 ‘한번에’ 통합돌봄 협력망 시동
- ‘대한민국 관광도로’ 전남 1호에 여수 백리섬섬길
- 김영록 지사 "석유화학 위기, 미래 신산업으로 대전환" 약속
- 류기준 도의원, 전남 조사료 보조금… 누적된 구조적 문제 다시 도마 위
- 전남보건환경연구원, 대기분야 공동연구 기관표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