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직원 반발·노동청 신고까지… 조직 관리 통제력 부재 지적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복무관리 부적정으로 감사 지적을 받은 후 연장근로수당 환수를 완료했으나, 이 과정에서 일부 직원의 반발과 내부 갈등이 표면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광역시의회 정무창 의원(더불어민주당·광산2)은 13일 열린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행정사무감사에서 “진흥원이 직원들의 부적정 연장근로수당 환수 과정에서 혼란과 불신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공공기관으로서 투명하고 공정한 후속 조치가 미흡했다”고 강조했다.

시 감사위원회는 지난해 진흥원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복무관리 부적정 등 8건을 지적했고, ‘주의 및 기관경고’ 처분을 내렸다. 감사 결과 연장근로신청과 실제 근무 사이 불일치한 사례가 여러 건 확인되어, 71건(약 6,200만 원) 환수 조치가 결정됐다. 이와 관련, 진흥원 측은 올해 4월부터 3차례에 걸쳐 환수 납부를 요청해 10월 기준 환수를 완료했다.
하지만 일부 직원들은 환수 조치에 강하게 반발하며 억울함을 호소,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제기했다. 진흥원 인사팀장의 환수 독려 과정에서 ‘갑질’이 있었다는 주장 역시 광주지방고용노동청에 신고됐으나, 노동청 조사 결과 ‘직장 내 괴롭힘이 아닌 것’으로 결론났다. 국민신문고 민원 역시 신고인이 자진 취하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무창 의원은 “환수과정에서 내부 갈등이 불거진 것은 조직 관리의 통제력 부재를 드러낸 사례”라며 “진흥원장이 사태를 조기에 수습하고, 조직의 신뢰를 지키는 리더십을 보여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진흥원은 광주 디지털 산업 생태계를 이끄는 핵심 공공기관인 만큼, 복무관리와 조직운영 전반에서 신뢰받는 행정을 확립해야 시민과 산업계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홍기월 의원, ‘협약형 특성화고’2년 연속 0곳… 광주시교육청 무관심 질타”
- 안평환 시의원, 광주를 자원봉사 선도도시로
- 정무창 시의원, 광주 학교 반경 1㎞ 내 성범죄자 거주, 전국 최고 수준
- 채은지 시의원, 광주시 산하기관 9·11개월 ‘쪼개기 계약’ 300명 넘어… 근절 대책 요구
- ‘광주 AI 2단계, 시민 체감 부족 vs 지역경제 실질 기여’… 강수훈 시의원·광주시 입장 엇갈려
- 홍기월 시의원, “교권 침해 대응 및 현장학습 보조 인력, 제도 개선 촉구”
- 정무창 의원, “학생선수 폭력 늘어, 대책은 제자리… 광주 학생선수 인권 붕괴”
- 박필순 의원, “도시철도 공사·개통 일정 연내 공개" 요구
- 서용규 시의원, “제2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사업, 8년째‘ 설계중’” 비효율적 행정 지적
- 김나윤 시의원, 도서관·소각장 문화재생사업, 잇단 지연과 낮은 경제성 '정상' 추진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