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상무소각장 부지에 추진중인 복합문화공간 조성사업(대표도서관 건립 및 문화재생사업)이 연이은 공사 지연과 경제성 부족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의회 김나윤 의원은 21일 광주광역시의회 제338회 제2차 정례회 광주시 문화체육실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대표도서관 공정률은 60%대에 머물러 있고, 문화재생사업은 중앙투자심사에서 낮은 비용편익비율(B/C)로 반려되어 당초 계획이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광주 대표도서관은 당초 2023년 말 완공 예정이었으나 기초공정 지연과 예산 문제로 지연 후 지난 6월 시공사 부도로 준공 시점을 2026년 상반기로 또 미뤘다”며 “10월 말 기준 67%의 공정률로는 내년 말 개관을 장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소각장 문화재생사업의 타당성 조사 결과, 사업의 경제성 지표인 B/C가 0.08로 산출되어 중앙투자심사에서 반려됐다”며 “시는 보완 후 재추진할 계획이지만 낮은 경제성으로 인해 사업의 정상 추진에 우려가 큰 상황이다”고 말했다.
김나윤 의원은 “사업이 반복적으로 미뤄지는 현실은 단순한 공정 지연이 아니라 행정 신뢰의 문제다”며 “광주시는 철저한 사업 준비와 추진으로 시민들과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관리강화를 주문했다.
광주시는 상무 소각장 부지에 광주 대표 도서관 건립과 노후화된 소각장 건물을 리모델링해 시민 문화·예술 활동 거점으로 탈바꿈시키는 문화재생사업을 동시 추진 중이다. 시는 대표 도서관을 2026년 상반기 준공 후 같은 해 말 개관할 예정이며, 문화재생사업은 2027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 광주시교육청, 15일 5·18민주광장서 ‘제1회 인성 키움 한마당’
- “수도권서 거리먼 지방 더 두터운 재정지원” 강기정 시장, 수도권 거리 비례 배분 제시
- 강기정 시장, ‘광주 전체 규제프리 실증도시’ 제안에 하정우 수석, ‘인공지능(AI) 실증도시 광주’ 적극공감
- 정다은 시의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실개천 조성사업… 공론화부터 시작해야
- 강수훈 의원,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개발... 사업 지연 원인 집중 추궁
- 서용규 시의원, “제2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사업, 8년째‘ 설계중’” 비효율적 행정 지적
- 정무창 시의원 “광주시 수백억 투입 문화시설 난항”... “제자리 걸음”
- 광주관광공사 행정사무감사 도마 위, “3천만 관광도시는 허상… 인사 실패·무책임 행정의 결과”
- 서임석 시의원, 광주관광공사... 경영 부실과 수익 악화 문제 심각 '지적'
- 정다은 의원, 광주 전기차 보조금 부당수급, 4년 새 30배 급증
- 광주 경실련, 이면합의·졸속 승진… 시민 신뢰 저버린 광주관광공사, 시는 즉각 진상조사 나서야
- 명진 의원, 광주광역시체육회“스포츠과학연구원” 충원 절실
- 진흥원, 연장근로수당 환수 과정서 ‘내부 갈등’… 정무창 시의원, 투명하고 공정한 후속조치 '촉구'
- 최지현 시의원, “학교 석면 그대로... 학생 안전보다 뒤로 밀린 예산 관행 재검토해야”
- 광주광역시의회 AI특위, 헬스케어 분야 3차 조찬간담회 개최
- 광주시의회, 골목상권 활성화 정책토론회 개최
- 광주광역시의회 AI특위, 미래모빌리티 4차 조찬간담회 개최
- 광주시의회, ‘지역산업위기 대응 체계 구축 조례’로 전국 ‘최우수상’ 수상
- 광주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 현장방문
- 광주광역시의회 AI특위, 5차 조찬간담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