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 미확보·심사 반려·경제성 부족 등 6개 사업 표류
예산은 늘어나고 성과는 제자리
광주시가 추진 중인 대형 문화 인프라 사업들이 부지 미확보와 중앙심사 반려, 경제성 부족 등으로 잇따라 제동이 걸리고 있으며 사업비는 눈덩이처럼 불어나지만, 사업 추진은 제자리 걸음이라는 지적이다.
12일 열린 문화체육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정무창 의원(더불어민주당·광산2)은 “광주시가 추진 중인 6개 핵심 문화사업이 모두 난항을 겪고 있다”며 “사업추진이 늦어질수록 광주시의 도시 경쟁력과 시민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가 된 사업은 ▲아시아 예술 융복합 창작센터(140억원), ▲아시아 아트플라자(190억원)▲개방형 광역수장보존센터(600억원), ▲상무소각장 문화재생사업(436억원→721억원으로 증액) ▲비엔날레 전시관(1,181억원→1,282억원으로 증액) ▲전문예술극장(3,000억원) 등으로, 총 사업비만 당초 5,547억 원에서 6,247억 원으로 약 12.6%(700억 원) 증가했다.
특히 상무소각장 문화재생사업은 436억 원에서 721억 원으로, 비엔날레 전시관은 1,181억 원에서 1,282억 원으로 각각 증액이 검토되고 있다.
정 의원은 “재정여건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이렇게 대규모 사업들이 현실적으로 추진 가능한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각 사업별 추진 부진의 이유도 다양하다. 광역수장보존센터는 부지 공모 2차례 실패, 아시아 아트플라자는 부지 매입비 과다 및 경제성 부족, 융복합 창작센터는 지방재정
투자심사 2회 반려, 상무소각장 재생사업은 중앙투자심사에서 낮은 경제성(B/C 0.08)으로 반려됐다.
전문예술극장은 부지조차 정해지지 않은 채 예비타당성조사만 예정돼 있고, 비엔날레 전시관은 공사비 급등으로 연면적 축소가 검토되는 실정이다.
정무창 의원은 “공통된 문제는 부지 적정성, 경제성, 수요 분석 등 수백억 원의 재정 투입이 예상되는 사업들이 줄줄이 답보 상태라며 시 재정 여건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실현 가능성 없는 대형 문화사업이 시민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 철저한 재검토와 단계별 추진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채은지 시의원, 광주시 산하기관 9·11개월 ‘쪼개기 계약’ 300명 넘어… 근절 대책 요구
- ‘광주 AI 2단계, 시민 체감 부족 vs 지역경제 실질 기여’… 강수훈 시의원·광주시 입장 엇갈려
- 홍기월 시의원, “교권 침해 대응 및 현장학습 보조 인력, 제도 개선 촉구”
- 정무창 의원, “학생선수 폭력 늘어, 대책은 제자리… 광주 학생선수 인권 붕괴”
- 박필순 의원, “도시철도 공사·개통 일정 연내 공개" 요구
- 광주시교육청, 15일 5·18민주광장서 ‘제1회 인성 키움 한마당’
- “수도권서 거리먼 지방 더 두터운 재정지원” 강기정 시장, 수도권 거리 비례 배분 제시
- 강기정 시장, ‘광주 전체 규제프리 실증도시’ 제안에 하정우 수석, ‘인공지능(AI) 실증도시 광주’ 적극공감
- 정다은 시의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실개천 조성사업… 공론화부터 시작해야
- 강수훈 의원,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개발... 사업 지연 원인 집중 추궁
- 서용규 시의원, “제2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사업, 8년째‘ 설계중’” 비효율적 행정 지적
- 김나윤 시의원, 도서관·소각장 문화재생사업, 잇단 지연과 낮은 경제성 '정상' 추진 우려
- 서임석 시의원, 광주관광공사... 경영 부실과 수익 악화 문제 심각 '지적'
- 광주시, ‘안심식당’ 위생관리 현장점검
- 광주 경실련, 이면합의·졸속 승진… 시민 신뢰 저버린 광주관광공사, 시는 즉각 진상조사 나서야
- 명진 의원, 광주광역시체육회“스포츠과학연구원” 충원 절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