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4건 → 2024년 118건 증가…전년도 불법 양도‧양수 103건
환수 결정액 2021년 3천만 원 → 2024년 19억 원 증가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의무운행기간 위반 증가… 부당수급 관리 강화 필요”
광주광역시 전기차 보조금 부당수급 4년 새 30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광역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 정다은 의원(더불어민주당·북구2)은 11월 12일 열린 기후환경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전기자동차 보조금 의무운행기간 미준수 등으로 인한 보조금 환수 사례가 최근 4년 새 급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광주광역시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의무운행기간 미준수 등으로 인한 보조금 환수 대상은 2021년 4건에서 2024년 118건으로 급증했으며, 2025년 9월 기준으로도 이미 81건이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불법 양도·양수 등 부당수급 사례가 2024년 적발 건수 중 87%를 차지하며, 2022년 26건에서 2024년 103건으로 약 4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수 결정액은 2021년 3천만 원(4건)에서 2024년 19억 원(118건)으로 60배 이상 증가했으며, 징수율은 2021~2022년 100%에서 2024년 84.2%로 하락했다.
보조금을 지급받은 전기자동차 구매자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라 8년간 의무운행기간을 준수해야 하며, 2년 이내 타 지역으로 차량을 판매할 경우에는 광주시 사전 판매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의무운행기간 내 폐차하거나 2년 내 다른 지역에 판매하면 운행기간별 보조금 회수율에 따라 보조금을 환수한다.
정다은 의원은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해마다 차량 수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의무운행기간을 지키지 않는 사례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며, “의무운행기간이 확대됨에 따라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 의원은 “이에 대응하기 위한 부당수급 관리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채은지 시의원, 광주시 산하기관 9·11개월 ‘쪼개기 계약’ 300명 넘어… 근절 대책 요구
- ‘광주 AI 2단계, 시민 체감 부족 vs 지역경제 실질 기여’… 강수훈 시의원·광주시 입장 엇갈려
- 홍기월 시의원, “교권 침해 대응 및 현장학습 보조 인력, 제도 개선 촉구”
- 정무창 의원, “학생선수 폭력 늘어, 대책은 제자리… 광주 학생선수 인권 붕괴”
- 서용규 시의원, “제2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사업, 8년째‘ 설계중’” 비효율적 행정 지적
- 김나윤 시의원, 도서관·소각장 문화재생사업, 잇단 지연과 낮은 경제성 '정상' 추진 우려
- [내일날씨]긴장감 싹 사라진 맑은 하늘…수능 끝난 금요일, "마음껏 즐겨!"
- 광주시교육청, 2026년 예산 2조8천257억 원 편성
- 광주지역 2026학년도 수능 결시율 7.13%
- 문화전당, 영화로 엿보는 인도의 언어와 감성... ‘2025 인도영화제’ 개최
- 안도걸 의원, “5극 3특 실현 로드맵 마련, 지방재정 자주도 제고 위한 제도 개선 촉구”
- 광주 경실련, 이면합의·졸속 승진… 시민 신뢰 저버린 광주관광공사, 시는 즉각 진상조사 나서야
- 명진 의원, 광주광역시체육회“스포츠과학연구원” 충원 절실
- 문인 북구청장, ‘전국노래자랑’ 무대 논란에 공식 입장 발표
- 광주 북구의회, ‘전국노래자랑’ 공무원 참여 논란... '깊은 유감' 표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