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수주는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과 총 663억 원(5000만 달러) 규모의 ‘사우디아라비아 아미랄(Amiral) 프로젝트 정유공장 가설공사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이는 22년 이전의 실적에 비해 다소 아쉬운 수준이기에, 증권업계에서도 24년의 해외건설부문은 23년과 유사하거나 소폭 상승할 것으로
새로운 수주는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과 총 663억 원(5000만 달러) 규모의 ‘사우디아라비아 아미랄(Amiral) 프로젝트 정유공장 가설공사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이는 22년 이전의 실적에 비해 다소 아쉬운 수준이기에, 증권업계에서도 24년의 해외건설부문은 23년과 유사하거나 소폭 상승할 것으로

[뉴스워커_가구업계 진단_현대리바트] 국내 가구 및 인테리어의 대표주자인 현대리바트(윤기철 대표)1999년에 설립되어, 2005년에 상장되었다.

동일 업종의 1위를 지키던 한샘을 앞섰다는 점에서 관심을 받았고, 최근 서울의 주택가격이 증가하자, 주택 거래의 활성화에서 수혜를 받을 현대리바트의 주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서울 부동산정보광장의 데이터에 의하면, 평균 거래금액의 증가에 비해, 거래량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거래량의 영향이 큰 업계이므로, 기대감을 뒷받침할 근거는 다소 부족해 보인다.

새로운 성장전략으로 시작했던 가설공사의 매출마저 사업의 진행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모습이기에 향후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매출액의 증가와 영업이익의 상승 ... 재고자산 비율은 높으나, 회전율은 감소에 대한 우려


출처 : 금융감독원 [단위 : 백만 원]
출처 : 금융감독원 [단위 : 백만 원]

현대리바트의 매출액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영업이익의 성장성은 아쉬운 수준이다.

매출액은 2021년에 14천억 원이었으나, 2022년에는 15천억 원, 2023년에는 16천억 원으로 성장세가 뚜렷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의 경우 2021200, 2022279, 2023196억으로 급격히 낮아졌다.

현대리바트는 2022년의 적자 전환의 이유로 인플레이션 심화에 따른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이 컸다고 밝혔다. 이로 인하여 주택경기가 침체되고 수출이 부진한 상황 속에서 원자재 가격의 상승(25~30%)까지 겹치며 원가 부담이 커졌음을 언급했다.

재고자산의 증가로 현금흐름이 감소했던 점도 언급했는데, 이와 함께 재고자산 회전율도 감소한 여파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대리바트의 재고자산회전율(매출액/평균 재고자산)20209.98, 20219.22, 20228.12, 20237.41회로 감소하는 추세이기에, 투자자들에게 다소 부담스러운 요소로 부각될 수 있다.


부동산 시장에서 재고 주택의 거래 증가는 미비한 상황에 신규 공급은 감소... 실적 호황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2023년은 고물가, 고금리의 영향을 받아 내·외수 시장이 위축되는 모습이었다경제성장 둔화가 지속되자 소비자들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현대리바트의 실적도 타격을 입었다이후 대출 규제 완화, 규제 지역 추가 해제 등 정부의 부동산 완화 정책이 이어졌다.

그럼에도 작년 하반기부터 주택담보 대출 급증에 따른 가계부채에 대한 경계심이 확산되자 부동산 PF 대출의 연체율이 상승하며 건설 경기 위축은 본격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현대리바트는 24년도부터 생활용품 및 인테리어에 해당하는 B2C 사업 방향을 차별화 전략으로 진행할 계획이라 밝혔다.

당사는 가정용 부문이 작년 하반기부터 회복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일부는 주택시장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에 집중하며 실적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자료 출처 : 국토교통부
자료 출처 : 국토교통부

그러나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부동산의 신규 공급의 증가 폭은 미미한 수준이다. 2021년에는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고금리 상황이 겹치며 불안한 건설시장을 대변하듯 2022년에는 하락했다.

2023년의 주택 건설 실적을 살펴보더라도, 유의미한 결과를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건설업체의 신규주택(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빌트인 가구 부문의 매출액 증가는 바로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다.

자료 출처 : 국토교통부
자료 출처 : 국토교통부

그럼에도 부동산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에 따른 서울 주택 가격의 움직임이 상승 추세로 전환하자, 부동산 매매도 활성화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단위 : 만 원] 자료 출처 : 서울부동산정보광장
[단위 : 만 원] 자료 출처 :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하지만, 서울특별시 부동산정보광장 데이터에 따르면,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은 상승하는 추세인 반면, 아파트 거래량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단위 : 건] 자료 출처 : 서울 부동산정보광장
[단위 : 건] 자료 출처 : 서울 부동산정보광장

국토교통부에서 3월에 발표한 자료에서도 전국 주택 거래량의 추세는 미비한 것을 알 수 있다.  , 홈인테리어 사업에 집중하는 현대리바트의 전략에 의하여 당분간은 성장할 수 있겠지만매출액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성장은 다소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단위 : 호/년] 자료 출처 : 국토교통부
[단위 : 호/년] 자료 출처 : 국토교통부

B2B 사업 중 해외 가설 공사의 매출 감소 ... 타 프로젝트로 매출 회복이 이어질 수 있을까


현대리바트는 사우디 사업 수주에 성공하며 B2B 부문의 매출액이 증가하는 모습이었다.

<현대리바트 해외건설부문 수주 현황>

 

2023

2022

증감액

증감율

해외건설부문

79,899

166,341

-86,442

-52%

[단위 : 십만 원] 자료 출처 : 금융감독원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이라크 등 해외공사가 마무리자 23년의 해외건설 부문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52% 감소하였다.

현대리바트는 23년 사업보고서를 통하여 해외 건설 마무리로 인하여 매출액은 감소하겠으나, 신규 현장 수주가 있음을 전했다.

하지만 새로운 수주는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과 총 663억 원(5000만 달러) 규모의 사우디아라비아 아미랄(Amiral) 프로젝트 정유공장 가설공사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이는 22년 이전의 실적에 비해 다소 아쉬운 수준이기에, 증권업계에서도 24년의 해외건설부문은 23년과 유사하거나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리바트의 주가 상승... 실적 불확실성 해소 여부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부동산 시장 회복의 수혜가 예상되자 현대리바트의 주가는 상승하고 있다.

리모델링과 인테리어 테마의 상승에 힘입어, 현대리바트의 주가도 최근 1년을 비교할 때, 크게 상승한 모습이다.

[단위 : 원] 자료 출처 : 네이버 금융

241분기의 실적이 흑자 전환하며 재고자산회전율도 9.46회로 증가하며 활동성 지표도 긍정적인 신호를 보이고 있지만,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이 잔존하는 상황이기에 지켜보는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