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정국 시위 참가자 형형색색 응원봉 지참
최근 혼란스러운 정국에 연일 시민들의 집회가 계속되면서 유통업계가 전반적으로 침체다. 이런 가운데 의외로 응원봉 관련 업체들과 해당 제품들이 잘나가고 있어 시선을 끈다.
지난 4일부터 시작된 대통령 탄핵 촉구 시위에는 형형색색 응원봉이 등장했다. 집회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아이돌 콘서트 굿즈로만 여겨지던 응원봉을 손에 들고 흔들며 주권자로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엑소 응원봉 [사진=11번가]](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60135_375065_4021.jpg)
주로 20~30대 여성들이 들고 오던 응원봉은 전 연령대로 확산됐다. 중장년층까지 자녀의 것을 빌려오기 시작했고, 최근 중고 사이트에는 응원봉을 구한다는 글이 많이 올라왔다. 응원봉 제작 업체들은 최근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이에 제작에 시간이 걸리고 배송 또한 지연된다고 공지하는 곳도 생겼다.
![중고 사이트 응원봉 관련 글 [사진=당근]](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60135_375063_376.png)
하나의 문화로 떠오른 응원봉 시위 덕에 수요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6년 탄핵 정국 때도 장기간 시위가 이어져 관련 제품 매출이 크게 늘었다. 당시에는 주로 건전지, LED 촛불 등 밤을 밝히는 조명 제품의 수요와 매출이 평소보다 많았다.
응원봉을 구하지 못한 사람들은 유사한 제품 찾기에 나섰다. 고가의 응원봉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품들을 찾던 시민들은 다이소나 쿠팡에 눈을 돌렸다.
다이소의 경우 ‘흔들리는 LED 캔들’(3000원)은 일부 매장에서 일시 품절된 상태다. 유사한 야광봉 제품 역시 다른 품목에 비해 재고가 없는 편이다. 쿠팡, 11번가, G마켓 등 온라인에서도 LED 촛불 일부 제품이 동이 났다.
![시청역 인근 다이소 매장 애광봉 재고 수량 [사진=뉴스워커]](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60135_375064_3740.jpg)
한 유통 업계 관계자는 “지금과 같은 비상정국에 소비가 위축된 곳이 많지만, 과거 코로나 시절 마스크 대란이 벌어진 것처럼 응원봉 시장도 성장할 기회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진격의 다이소, 건전지도 다른 브랜드 비해 가격·성능 모두 '굿'
- 배달기사 컴퓨터 문 앞에 던져 논란...네티즌 반응은?
- CJ대한통운 주7일 배송 방침에 소비자들 환영...일부는 우려도
- 다이소 온라인 어플도 인기몰이...비결이 뭘까?
- 다이소 C타입 핸드폰 충전기 히트 조짐...삼성 협력사 제품임에도 애플 9분의 1 가격
- 화이트하임 1/6 가격에 잘못 올린 쿠팡, 가격기재 오류에도 쿨하게 전량 배송
- "쿠팡, 납품업체 제품 베껴 PB 제품 둔갑"...공정위 판단에 쿠팡 “전혀 사실 아냐” 반박
- 가성비 쫓는 MZ세대 성지로 자리 잡은 다이소, 과자도 인기 폭발
- 스타벅스에 레고·다이소까지...성탄절 ‘어드벤트 캘린더’, 인기 한편에선 "너무 비싸" 논란도
- 쿠팡·C커머스 공세에 SSG닷컴·G마켓 뭉쳤다...전망은 엇갈려
- 국가애도기간 불꽃놀이 현대해양레저 철퇴...비판 한편에는 "과하다" 반론도
- 쿠팡 타도 외치며 지마켓과 손잡았는데...돌변한 알리익스프레스
- 파리바게뜨 이어 이디야커피까지...선의로 시작한 선결제 문화 또 잡음
- 탄핵정국 불똥 대형마트까지...이마트·홈플러스 근로자 탄핵배지 착용 논란
- 창업 30년 바라보는 다이소, 가격 정책 불변 선언...1만원 화장품 출시는 루머
- 연매출 4조원 다이소, 화장품 이어 영양제 판다...최근 불거진 영양제 이슈 영향은
- 다이소, 건기식 판매 시작에 제약업체도 홍보 나서...약사들은 격앙
- 올리브영·다이소·G마켓 건기식 열풍 부는데...약국들은 우려의 목소리
- 약국들 불매 조짐에 일양약품 백기...다이소 건기식 출시하자마자 암초
- ‘캐시리스’ 현상이 다이소까지...일부 매장에서 현금 안 받는다
- 논란으로 시작한 다이소 건기식 판매, 약사들 거센 반발에도 입점 제약회사 늘었다
- 韓 다이소 연매출 4조원 부러웠나...日 다이소, 한국 시장 기웃기웃
- 랜섬웨어 터진 예스24, 사흘째 해결 못 해...인터파크·알라딘은 반사이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