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자산운용은 3월 말 기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458730)'가 동종 펀드 대비 가장 낮은 실부담비용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 ETF의 실부담비용은 0.1357%이다.
실부담비용은 총보수에 펀드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타 비용과 매매·중개 수수료율을 합산한 수치로,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전체 비용을 의미한다. 특히 장기 투자 시 누적되는 실부담비용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금계좌 투자 시 중요한 고려 요소로 꼽힌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는 낮은 실부담비용 덕분에 연초 이후 동종 펀드 대비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최근 미국 증시 조정으로 S&P500과 나스닥100이 모두 10% 이상 하락한 가운데, 이 ETF는 16일 기준 연초 이후 수익률 -9.61%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방어력을 보여줬다.
이 상품은 10년 이상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해온 성장성과 재무 건전성을 갖춘 미국 우량 고배당 기업에 투자하는 월분배형 ETF다. 기초지수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로, 미국에 상장된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SCHD)'와 동일한 지수를 추종한다. SCHD는 지난해 미국 배당투자 ETF 중 가장 많은 자금을 유입시킨 대표 상품으로, 연평균 3~4%대 배당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ETF운용본부 김남호 본부장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는 월분배와 안정적인 성과로 장기 투자자들의 수요가 높은 상품인 만큼 실부담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TIGER ETF는 기타비용 및 매매비용 최소화를 통해 투자자들의 장기 수익률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 투자 세미나 ‘Non-US 마켓 인사이드’ 개최
- 미래에셋자산운용, 1조원 돌파한 ETF로 배당과 방어 모두 잡았을까?
-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의 누적 기부 331억, 어디에 쓰이고 있나?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ETF 명칭 변경으로 투자 전략을 어떻게 드러냈나?
- 미래에셋자산운용의 ‘M-ROBO’, 퇴직연금 시장의 새로운 표준이 될 수 있을까?
- 미래에셋자산운용, ETF로 어린이 금융 교육 시장 공략하나?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미국 대표지수 ETF 명칭 변경의 이유는?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미국초단기국채 ETF로 안정적 투자 기회를 제공하나?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미국초단기국채 ETF'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 기록한 배경은?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미국S&P500 ETF’ 1조원 돌파… 개인 투자자의 선택 이유는 무엇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