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은 대규모 부당대출 사태 이후 수립한 전사적 쇄신 계획을 충실히 이행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기업은행은 제도의 조기 정착과 함께 조직문화의 실질적 변화를 위해 다양한 내부 개혁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이번 쇄신 계획은 여신, 내부통제, 조직문화, 검사, 경영진 책임 강화 등 5개 부문, 총 16개 과제로 구성됐으며, 현재까지 13개 과제를 이행 완료한 상태다. 남은 과제들도 예정대로 진행될 계획이다.

이달부터는 이해관계자 관련 여신에 대한 내부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부점장급 이상 임직원의 가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등록은 자율적으로 수시 진행되며, 해당 정보는 전결권 통제에 활용된다. 앞으로는 임직원 가족 관련 여신은 영업점장 전결이 제한되며, 본부 여신심사부가 심의 및 의결하게 된다. 또한, 팀장급 이상 임직원에게는 매 여신 의사결정 시 이해상충 여부와 가족 또는 퇴직직원 관련성을 점검하는 체크리스트를 도입했다. 더불어 감리부서의 테마감리 대상도 이해관계인 관련 여신까지 확대해 사후 점검이 강화됐다.

준법 제보 활성화를 위해 외부 독립 제보 채널도 새로 도입했다. 제보자 보호와 함께 비위 행위자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내부 규정에 반영해 인사·평가상 불이익을 방지하는 제도도 마련됐다. 이와 함께 7월 중 외부 전문가가 포함된 감사자문단을 발족해 감사 체계를 재정비하고, 여신문화개선팀도 신설해 여신 의사결정의 선진화와 내부통제 체계 강화를 이어갈 예정이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쇄신위원장을 맡은 정순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이번 쇄신안은 IBK 내부통제 체계 전반에 대한 변화와 쇄신을 통해 부당대출 등 이해상충 행위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완성했다는 데 큰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에도 꾸준한 점검과 함께 실효성 있는 정착 노력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쇄신안 과제가 현장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소통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라며, “이번 쇄신 노력을 통해 ‘금융사고 제로화’를 실현하여 국민과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는 한편, 정책금융기관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