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구복구 대책·꼼꼼한 피해집계·특별재난지역 지정 대비 등 당부
나주 원예작물 침수·영암 나불1배수통문 파손 현장 피해 점검도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19일 도청 재난종합상황실에서 호우피해 및 응급복구 점검회의를 열어 “도민 불편 최소화와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 복구활동을 서두르고 소소한 피해라도 빠짐없이 철저히 집계하라”고 지시했다.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17일부터 3일간 전남지역에 평균 202.0mm의 많은 비가 내렸으며, 지역에 따라 광양 백운산이 최고 556mm의 강수량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곡성 옥과 469.5mm, 나주 금천 458.5mm, 무안 해제 455.5mm 등의 극한 강우가 이어졌다.
이에 따라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주택 침수 475동, 가축 폐사 21만 8천 마리, 농작물 침수 5천228ha, 사면·제방 유실을 비롯한 공공시설 187건 등 많은 재산 피해가 집계됐다.
김영록 지사는 “인명이나 대형 피해가 없어 천만다행이지만, 아직 끝난 것이 아니다. 응급복구까지 완료하고, 후속 호우에도 대비해야 한다”며 “도민 한 분 한 분이 하루빨리 안정을 되찾도록 침수 주택의 퇴수조치와, 철도 복구 등 시설별 맞춤형 신속 복구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항구 복구를 위한 특별대책도 세워 추진하라”고 말했다.

특히 “그동안 배수 개선 등 재해대책사업을 잘 추진하고 대피 훈련 등 재난 대응에 정성을 다한 결과 이번 예상을 뛰어넘는 폭우에도 큰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를 교훈삼아 시우량 100mm에도 잘 버틸 수 있는 대책을 지속해서 추진하자”고 강조했다.
또한 “대형 피해는 없었지만 소소한 피해가 많은 만큼, 피해 지원에 누락되지 않도록 피해 집계를 철저히 해야 한다”며 “과거와 달리 농작물 피해도 특별재난지역 지정 기준에 포함되므로, 군단위는 안 되겠지만 읍면단위로라도 지정받을 수 있도록 대비를 잘 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영록 지사는 회의에 이어 나주 동강면의 원예작물 침수 현장과 영암 나불도 나불1배수통문 파손 현장을 직접 찾아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신속한 복구 조치를 당부했다.
나주 동강면은 비닐하우스 6ha가 침수됐으나 현재 퇴수조치를 완료하고 구체적 피해 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영암 나불도는 1배수통문이 파손돼 하천수가 유입, 인근 농경지가 침수되고 마을 주민과 숙박업소 투숙객 등 134명이 대피했다. 현재 배수통문 응급복구가 완료됐고, 대피 주민 등은 귀가 조치했다.
전남도는 피해지역의 체계적 복구와 함께 중장기 재해예방 대책도 함께 추진해 재난 대응 역량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 전남도, 이달의 농촌체험휴양마을에 고흥 별나로마을
-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지역 문화 협력 관계 구축
- 김영록 지사, 호우 대응·피해 복구에 행정력 총동원 당부
- 나주시, 445mm 역대급 폭우… '긴급 비상대책회의' 개최
- 김정희 교육위원장, “K-AI 시대를 선도할 전라남도 미래전략 총점검” 도정질문
- 신정훈 행안위원장, “지방재정 확충과 지방의회 권한 강화로 실질적 자치분권 완성해야”
- 전남도, 초복 앞두고 ‘전복 이벤트 시즌2’로 따뜻한 기부여정 이어가
- [포토] 김영록 전남지사, 나주 동강면 원예작물 침수 피해현장 방문
- 윤병태 시장, 기록적 폭우 현장 긴급 방문… "시민 안전 최우선 총력 대응"
- 전남도, 중소기업 지원위한 건설업 운영자금 신설
- 전남도, 토지 경계분쟁 해결위한 지적재조사 본격 추진
- 함평읍, 초복 맞이 현업 근로자 격려…건강·안전 당부
- 김영록 지사, “호우피해 조속한 복구·실질적 지원 온힘”
- ‘최대 535mm 극한호우’ 장성군, 인명피해 없었다
- 영광군, “대통령, 특별재난지역 선포 추진 지시에 감사”
- 나주시, 침수 피해 축산농가 폐사축 18만수 긴급 처리
- 곡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준비완료 21일부터 신청개시!
- 전남도, 폭염 다시 시작…온열질환 비상 대응 총력
- [포토] 폭염 현장 맞춤 이동식 그늘막 큰 호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