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한국항공우주산업(주))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운영하는 ‘K-휴머노이드 연합’에 참여한다고 12일 밝혔다. ‘K-휴머노이드 연합’은 203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인간형 로봇 제조 기술 확보를 목표로 지난 4월 출범한 산학연 협력체다.
이번 연합에는 KAI를 비롯해 삼성전자, SK, LG전자, 포스코 등 대기업과 서울대, KAIST, 연세대 등 연구기관, HD현대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등 로봇 전문 제조사 등 70여 개 이상의 국내 주요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KAI는 항공우주산업 생산 현장에 적합한 인간형 로봇 ‘휴머노이드’의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항공기 제조 특성상 그동안 수작업으로 진행됐던 공정을 휴머노이드 기술로 고도화해 작업 시간 단축과 정밀도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휴머노이드 기술은 항공기 동체 및 날개 제작 과정에서 절단, 드릴링, 밀폐·방수 처리 등 핵심 정밀 작업과 부품 운반, 최종 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실시간으로 상황을 스스로 판단하고 대응하는 AI-휴머노이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선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KAI는 앞으로 휴머노이드 기술을 포함한 디지털 제조 기술의 통합적 활용 가능성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KAI 관계자는 “그동안 축적해 온 스마트 제조 경험과 디지털 기반 생산혁신 역량이 휴머노이드 개발의 탄탄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와 협력해 미래 항공 제조 환경에 최적화된 로봇 융합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KAI는 콜린스와의 A350·A320NEO 부품 계약으로 어떤 성과를 거뒀나?
- KAI는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통해 ESG 경영을 어떻게 강화하고 있나?
- KAI, 23회 항공우주논문상 공모전으로 차세대 인재 발굴에 나서나?
- KAI, 출자회사와 AI·무인기 기술 협업 강화로 전장 플랫폼 혁신 가능할까?
- KAI, 산청 극한호우 피해 복구 위해 2억 원 기부로 지역사회 지원에 나섰나?
- KAI, AI 기반 전술개발 훈련체계로 공군 전투력 향상 이끌까?
- KAI, KAIST에 설립한 AI-전자기전 특화연구센터의 역할은 무엇인가?
- KAI, 2025년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채용에서 어떤 인재를 찾나?
- KAI, 유럽 방산 전시회 MSPO 참가 목적은?
- KAI, 첫 어린이 과학도서 출간으로 항공 꿈 키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