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배전 기술로 100년 전력망 역사 바꾼다”
제2의 전력망 혁신, ‘DC 전환’으로 에너지효율 · 전력망 부담 동시 해결
‘기술 개발과 국제표준화 협력’ ‘글로벌 DC 생태계 조성’ 2대 실행과제 제안
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이 8월 28일(목) 개최된 APEC 에너지 장관회의에서 ‘글로벌 DC 이니셔티브(Global DC Initiative)’를 공식 제안하며 지난 100여 년간 이어진 교류(AC) 중심의 전력망 구조를 직류(DC) 기반으로 바꾸는 ‘제2의 전력망 혁신’을 선언했다.
현재 전 세계 전력수요는 AI 확산과 전기화 가속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30년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가 945TWh에 이르고, 2050년에는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전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50%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수요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려면 2030년까지 기존 대비 약 30%의 전력망 추가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데이터센터, 산업 설비 같은 주요 대용량 DC 부하를 전력 변환 없이 DC로 직접 연결시 AC 대비 약 10%의 효율 향상이 개선돼 전력수요와 전력망 건설부담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한전은 10여 년간 다양한 실증으로 DC 효과를 입증했으며 산·학·연·관 45개 기관과 함께 2024년 Korea DC Alliance(K-DCA)를 출범시킨 이래 생태계 기반 마련과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장관회의에는 APEC 21개 회원국 장・차관급 등 정부대표단과 IEA·World Bank 등 국제기구, Microsoft·구글 글로벌 기업 등 총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한전은 ‘재생e 확대와 전력망 효율화를 위한 DC 필요성과 APEC 협력방안’을 발표하고 두가지 실행과제를 제안했다.
첫째, 기술 개발과 국제표준화 협력을 통해 전력망 구축 비용 절감과 전환 속도를 높이고, 둘째, 업계 협업을 기반으로 DC 생태계를 지속 조성해 가전제품과 전력설비 보급을 확대하는 것이다.
김동철 사장은 “전력망 현대화는 낡은 설비를 바꾸는 수준이 아니라 전력 시스템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일”이라며 “DC 중심의 국제협력은 에너지 전환의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전력망의 안정성과 효율을 동시에 높이는 가장 현실적인 해법”이라고 밝혔다.
이어 “100년 이상 유지된 AC 시스템과의 호환성, 높은 초기 비용 극복을 위해 APEC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협력해 DC 시대의 문을 함께 열어가자”라며 글로벌 협력과 연대를 제안했다.
한전은 앞으로도 K-DCA를 통해 데이터센터·DC 빌딩·산업단지 등에단계적 사업모델을 구체화하고 조기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DC 얼라이언스와의 협력으로 국제 표준을 주도해 대한민국을 세계 전력망 혁신의 중심에 세우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 한전,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기술 경진대회’ 2관왕... 세계가 인정한 전력망 운영 기술력
- 한전, ‘에너지슈퍼위크’에서 ‘DC 시대’ 개막 선언
- 한전KDN, 전력계통 적용 C언어용 암호모듈... '국정원 KCMVP 재인증' 획득
- 한전KPS, 상임감사 계층별 청렴대담… 소통화합 조직문화 조성
- 한전KDN,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참가로 에너지ICT 솔루션 소개
- 한전KPS, AI 인력양성 경진대회… 디지털 인재 육성
- 켄텍, "대한민국 에너지정책 미래를 설계하다”
- 한국인 최초 ‘ISTE 20 to Watch’ 켄텍 김경 교수, '글로벌 교육 리더 서밋 무대 오른다"
- 한전KPS,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 29년 연속 '대통령상'
- 한전,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시범사업 본격 추진... ‘25년도 공공주도 해상풍력 경쟁입찰’최종 선정
- 한전KPS, 노사 소통·상생 강화 위한 합동교육 실시
- 한전KDN, 국민의견 반영 강화한 2025 적극행정 우수사례 선정 마무리
- 한전, 안전은 타협 없는 철칙... '안전경영 혁신 선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