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모빌리티(대표이사 류긍선)는 자율주행 상용화 시대에 대비해 스타트업 에스유엠(SUM, 대표이사 현영진)과 ‘자율주행 AI 기반 서비스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을 위한 수요응답형(DRT) 자율주행차량 서비스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오토노머스에이투지(Autonomous A2Z)에 이어 두 번째로 국내 자율주행 기업과 협력에 나섰다. 회사는 카카오 T 플랫폼을 통해 축적한 운영 노하우와 관제·안전관리 R&D 역량을 바탕으로 에스유엠의 자율주행 대중교통 시스템 기술과 결합해 국내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를 준비하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교통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사업 기회를 공동 발굴하고, 원격지원 및 안전관리 R&D를 수행하며, E2E(End-to-End) 기반 자율주행 상용화 기술 확보를 위해 협력한다. 특히 카카오 T 플랫폼 내에서 자율주행 DRT 차량의 호출, 예약, 결제 기능을 연동해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정부 지원 사업 참여 및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안전성 강화를 위한 기술 협력도 진행된다. 예측 불가 상황에서 원격지원과 장애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학습 데이터셋을 상호 공유해 E2E 자율주행 모델의 학습 및 성능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완전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한 기술적 기반을 장기적으로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현영진 에스유엠 대표는 협약식에서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카카오 T 플랫폼과의 협력은 에스유엠의 자율주행 기술이 더 넓은 시장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양사 시너지를 극대화해 국내 자율주행 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하는 성공적인 상용화 모델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역량 및 기술력과 에스유엠의 뛰어난 자율주행 기술력이 만나 국내 자율주행 생태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카카오모빌리티의 역량을 구심점으로 한 국내 자율주행 기업들과 각 특색에 맞는 다각도의 협업을 통해, 자율주행 상용화 시대 국내 생태계의 대응 역량을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카카오모빌리티, DAY6 10주년 맞아 전국 광고 캠페인 진행하나?
- 카카오모빌리티, 파트너플레이스 리포트에 담긴 주요 내용은?
-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 T 통합검색 개편 주요 내용은?
- 카카오모빌리티,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 자율주행 협력 강화했나?
- 카카오모빌리티, 가을 캠핑 시즌 맞아 선보인 ‘가볼만할지도’ 캠핑편은?
- 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청사진 어떤 내용 담겼나?
- 카카오모빌리티, 렌터카연합회·에픽카와 MOU 체결한 협약 내용은?
- 카카오모빌리티, 한강공원 이동 리포트 담은 가을 콘텐츠 특징은?
- 카카오모빌리티, HL로보틱스와 협력해 공개한 로봇발레 주차 서비스 내용은?
-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 T UI 전면 개편으로 이용자 편의성 높였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