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는 17일 광명시와 ‘전기차 기반 커뮤니티 카셰어링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기아가 국토교통부 주관 ‘2024 강소형 스마트도시 공모사업’에 광명시 컨소시엄으로 참여해 7월 최종 선정된 이후, 광명역세권 지식산업센터 내 기업과 시민들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주행 중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추진됐다.
광명시는 해당 공모사업을 통해 ‘광명역세권 탄소중립 스마트도시’ 조성을 목표로 모빌리티, 데이터, 에너지, 안전 등 4개 부문에서 각 컨소시엄과 협력해 솔루션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기아는 이 중 모빌리티 부문을 담당하며, 자사의 친환경차 공유 서비스 ‘기아 비즈(Kia Biz)’를 활용해 ‘전기차 기반 커뮤니티 카셰어링’ 솔루션을 운영한다. 기아와 광명시는 서비스의 성공적인 도입과 안착을 위해 ▲사업지 선정 및 인프라 구축 ▲운영 및 유지 관리 ▲데이터 연계 및 시민 공유 등 3개 분야에서 협력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차 공유 서비스 운영을 위한 최적의 사업지 선정과 차량·플랫폼 인프라를 공동으로 구축하고, 업무용 및 개인용 차량 공유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며 플랫폼과 차량 유지 관리를 통해 서비스 품질을 지속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광명시 도시 데이터 플랫폼과 연계해 실제 주행거리 기준 내연기관 차량 대비 탄소 저감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공공성과 환경적 가치를 강화할 방침이다.
기아는 광명역 인근 ‘광명 유플래닛 타워’를 주요 거점으로 EV3와 EV4 차량 5대를 도입하고, 향후 PV5와 EV5 등 차종을 추가할 예정이다. 해당 차량은 업무시간에는 지식산업센터 입주 기업들이 업무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업무 외 시간에는 일반 시민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된다.
기아 관계자는 "광명시 강소형 스마트도시 구축의 첫 발자국인 만큼 큰 의미가 있다"며 "광명역세권의 안정적인 사업 운영을 바탕으로 도심 혼잡도를 낮추고 탄소 저감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기아, 밀워키·케이밴과 협력한 랙킹 솔루션 개발이 PBV 고객 가치를 높일 수 있을까?
- 기아, 홍성군과 맺은 재생에너지 마을 조성 협약 내용은?
- 기아, 다문화 청소년 지원 ‘하모니움’으로 어떤 성과를 만들었나?
- 기아가 개최하는 제4회 PBV 아이디어 공모전의 내용은?
- 기아, The 2026 카니발 하이리무진 특징은?
- 기아 쿠팡파트너스연합회와 PBV 기반 전동화 택배 협력의 핵심 내용은?
- 기아, 장애인 이동권 확대 위한 모타빌리티와의 업무협약 주요 내용은?
- 기아, ‘2025 노사 합동 사랑나누기’ 통해 실천한 사회공헌 내용은?
- 기아 화성 EVO Plant, PBV 생산 거점으로 어떻게 구축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