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국토부가 각각 대응 나섰지만 실질적 조치에는 시간 걸려
배터리 충전이 50% 수준으로 제한돼 주행거리가 반 토막 나는 특정 오류코드(BMS_a079)가 속출했지만, 테슬라코리아는 여전히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지 않았다. 이에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 지급 중단까지 검토하면서 파장이 커졌다.
![테슬라 CI [사진=Tesla]](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10/398959_427902_5622.png)
이번 결함은 주로 2170 원통형 배터리 셀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배터리를 충전하고 방전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이 자라나 분리막을 손상시키는 덴드라이트 현상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수천 개의 셀을 엮어 만드는 원통형 배터리의 특성상 셀 하나만 문제가 생겨도 전체 배터리 팩의 안전을 위해 작동을 멈추게 설계됐다고 분석했다.
테슬라의 사후 대응은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보증기간 내 수리 시 새 제품이 아닌 재제조 배터리(리만 배터리)로 교체하는 정책은 소비자들의 불신을 키웠다. 재제조 배터리는 문제가 된 일부 모듈만 교체하고 수명이 다해가는 나머지 셀은 그대로 사용해, 수리 후에도 동일한 문제가 재발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급증하는 수리 수요에 비해 국내 공식 서비스센터는 14곳에 불과해 수리가 장기간 지연되는 문제도 발생했다.
한 자동차 정비 전문가는 “테슬라의 BMS는 수천 개 셀 중 하나의 미세한 결함까지 잡아낼 만큼 기술적으로 뛰어나다”면서도 “문제점은 정비 용이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배터리 팩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어 “문제가 생긴 부분만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일부 모듈만 교체하는 재조립 배터리는 결국 언제 고장날지 모른다”고 덧붙였다.
정부 부처도 각기 대응에 나섰다. 전기차 보조금을 담당하는 환경부는 지난 9월 테슬라코리아에 소비자 불만 해소 대책과 시정 계획 제출을 요구했다. 소비자 보호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보조금 지급 중단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리콜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 산하 기관인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제작결함 가능성에 대한 예비 조사를 의뢰했다.
![BMS_a079 오류로 충전이 불가능해진 모습 [사진=커뮤니티 Reddit 캡처]](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10/398959_427903_5756.png)
그러나 강제 리콜 등 구체적인 조치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조사가 마무리되고 결함이 명확히 입증돼야 행정 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테슬라코리아가 국토부의 제재에 앞서 구제 방안을 내놓지 않는 이상, 소비자들은 안전 불안과 경제적 부담이라는 이중고를 당분간 홀로 감당해야 할 상황이다.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테슬라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 9월 성명을 통해 "테슬라가 결함 원인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자발적 리콜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업계는 과거 배터리 화재 위험으로 대규모 리콜을 단행했던 현대자동차그룹 등 국내 완성차 업체의 대응과 대조된다는 반응이다.
- 中, 2027년부터 전기차 매립형 손잡이 금지 검토...현대·기아·테슬라 등 업계 대응책 고심
- 리튬 안전성 논란에 나트륨 급부상…앞서가는 중국, 한발 늦은 LG엔솔·SK온·삼성SDI 잰걸음
- 먹통 된 테슬라·불탄 벤츠·탈출 못하는 샤오미…‘전기차 포비아’에 구매심리 급랭
- '바퀴 달린 스마트폰' SDV 경쟁 뜨거운데...테슬라·BYD 넘을 현대차 전략은
- “관세 협상 마무리”...美 재무장관 발언에 반색한 현대·기아차, 한국 완성차 가격경쟁력 회복할까
- GIST, 새롭게 지은 정문 완공 기념 네이밍 이벤트 개최... 31일까지 접수
- 고급 스포츠카 대표하는 포르쉐, 3분기까지 이익 99% 급감…시장 변화에 뒤늦은 전략 수정
- 5억원 주고 산 페라리가 알고 보니 수리된 중고차?...끊이지 않는 외제차 PDI 논란
- GM·스텔란티스·두카티 리콜에도 ‘나홀로 대응’ 테슬라...전기차 결함 인정 어디까지?
- 국내서도 테슬라 차량 문 못 열어 창문 깨고 구조...현대차·기아차도 채택한 매립형 손잡이 논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