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 2조 원 돌파·세입 과다추계 등 재정 부실 지적… “투명한 정보 공개 시급”
광주광역시의 재정 상황이 법적 재정위기단체 지정 기준(25%)에 가까운 23.63%에 이르렀음에도 시 집행부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발표해 시민들의 불안과 불신이 커지고 있다.
이귀순 시의원(더불어민주당)은 최근 시정질문을 통해, 광주시의 채무가 2조 1,675억 원으로 5년 전 대비 두 배 이상 늘었으며, 전국 주요 도시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광주시는 세입 증가율 산정을 현실보다 5배 이상 높게 잡아 2,300억 원 규모의 세수 부족 사태를 초래했고, 그 결과 일부 사업과 행사가 중단됐다.
이와 더불어 도시철도 2호선, 호남고속도로 확장 공사 등 재정 한계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추진하는 점도 시민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또한, 특별회계와 기금의 전용을 반복해 누적 내부 거래액이 8,600억 원에 달하는 상황에 대해 ‘눈속임식 회계’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귀순 의원은 “재정위기 직전임에도 ‘괜찮다’고만 하는 시정은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며, 지방채 관리 강화, 현실적 세입 추계, 기금 운용의 투명화 등 구조개혁과 솔직한 정보 공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민들은 당장이라도 광주시가 실질적 재정실태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신뢰받을 수 있는 재정운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관련기사
- 광주시, ‘2045 지속가능도시 비전’ 선포한다
- 이정선 교육감 “국가 AI컴퓨팅센터, 광주에 설립돼야”
- GICON, ‘2025 글로벌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GGDC)’... 23~24일 광주서 개최
- 광주 추억의 충장축제, '문체부 장관상' 수상
- 광주지역 각계대표 80여 명, 긴급 비상회의... 정부 ‘국가 AI전략 공백’에 깊은 우려 표명
-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 대표단, 민주당 방문 대통령공약 ‘국가AI컴퓨팅센터 설립 이행’ 촉구
- 이병훈 “국가AI컴퓨팅센터 전남 유력, 광주시민 상실감 커...국가 차원 보완 대책 필요”
- 광주시, ‘2025 광주형 청년갭이어 성과 공유회’… 50명 참가
- 전남학생선수, 제106회 전국체전에서 '한국 육상의 미래 밝히다'
- 광주창작콘텐츠산업협회, “AI 컴퓨팅센터 광주가 필연”
- 대한민국 AI 3강 도약, ‘AI 중심도시 광주’ 반드시 필요하다
- 호남 최대 미술시장 ‘광주국제아트페어’ 23일 개막
- “함께 걸으며 극복해요”… 광주시, 치매극복 걷기행사
- 전남대 손희하 명예교수, ‘호남가’속 대동 정신 재조명
- 전남대 과학영재교육원, 2026학년도 신입생 140명 모집
- 광주도시공사, 재생에너지 수익금 환원으로 입주민 에너지 복지 실현
- 정준호 의원,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 전남 선택 아쉽다'… "광주 AI 시범도시 위해 총력 다할 터"
- 광주 서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 광주 서구, 노인일자리 교육에 ‘행복’을 더하다
- 광주 국회의원들, 우상호 대통령 정무수석과 23일 저녁 '긴급 간담회' 가져
- 김경수 위원장, 광주 AI컴퓨팅센터 유치 무산 이후 지역 전략 강조
조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