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전남환경산업진흥원 행정사무감사... 전남형 스마트팜 모델 제안
전라남도의회 한숙경 의원(더불어민주당·순천7)은 지난 11월 6일 열린 전남환경산업진흥원 행정사무감사에서 폐열(소각열)을 활용한 AI 기반 환경제어 자동화와 스마트팜 연계 실증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 의원은 전남이 농업 중심 지역임을 언급하며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스마트팜 에너지로 재활용하면 에너지 절감과 청년농 유입,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층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지자체가 주도하는 전남형 스마트팜 모델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청년농들이 스마트팜을 유지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가 연료비 부담인 만큼, 폐열 재활용 기반의 스마트팜을 지자체 단위에서 실증해야 한다”며 “지역 기업과 농업인이 함께 참여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 의원은 이어 “이 사업은 단순한 기술 실증이 아니라 농식품·에너지 산업을 아우르는 복합형 플랫폼으로 발전해야 한다”며 “전남은 폐열 발생 시설이 많고 농업 기반이 탄탄한 만큼, 시범지자체를 선정해 지역 주도의 모델을 구축한다면 전국적 확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정섭 전남환경산업진흥원장 직무대행(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현재는 플랫폼 시스템을 구축해 기업이 산업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전남도 농식품국·에너지국 등과 협업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한춘옥 도의원, 전남 관광 플랫폼 철저한 평가 및 개선 촉구
- 안도걸 의원, 광주를 명실상부한 ‘국가 컴퓨팅자원센터’ 중심 도시로
- 박종원 도의원, “전남소방 구급대 인력 공백 해소 위한 대체인력 확충 필요”
- ‘결원 반복·성과 비공개’… 진호건 도의원, “해양수산과학원 행정 투명성 강화해야”
- 김성일 도의원, AI 거점 노리면서 전남도 AIㆍ데이터 전문인력 ’0명‘
- 박성재 도의원, “전남도 수산자원 관리체계 전면 전환해야”
- 김진남 도의원, ‘전남 교육 국외 연수... 시점·취지 모두 엇나갔다’
- 김회식 도의원, 이상기후에 선제 대응 시급, 농업환경 변화에 맞는 제도 개선 필요
- 김주웅 도의원, “양식수산물재해보험 수협 배만 불려…전남도 즉시 개선 로드맵 내야”
- 주종섭 도의원, 전남바이오진흥원 운영실태 '심각'... '도 차원 조치 해야"
- 전남 상습침수 7개 지구...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에 선정
- 전남 사랑애 서포터즈 60만 달성… 햅쌀 증정 이벤트
- 전남도, 2026년 국비 저온유통체계구축사업 전국 최다
- 김정희 교육위원장, ‘우리가 준비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 토크콘서트’서 청소년에게 미래 세대의 책임과 희망 메시지 전달
- 이재태 도의원, “학교시설 개방, 의무인데 왜 닫혀 있나?”
- 국립순천대 RISE 창업혁신허브센터, 전남 3개 대학 통합 전시관 운영
조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