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건 7천565억 규모… 사업별 맞춤형 논리 등 전략 강화
전라남도는 21일 강위원 경제부지사 주재로 ‘2026년 국고 건의사업 국회 심의 추진상황 보고회’를 열어 현재 국회 심의 단계별 진행 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향후 대응 전략을 전면 재정비했다.

보고회는 국회 상임위원회와 예결위원회에서 논의 중인 건의사업의 반영 가능성을 냉정하게 분석하고, 남은 심의 기간 실국별로 집중해야 할 핵심 대응 포인트를 재설정하기 위해 진행됐다.
전남도가 국회에 제출한 서면질의서는 총 138건(7천565억 원 규모)으로, 이 중 전남도 실국이 89건(6천710억 원), 시군이 49건(855억 원)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회 심의 과정에서 사업별 맞춤형 논리 등 가장 중요한 3가지 전략을 중심으로 대응 방안을 정비했다.
상임위 의결·예결위 소위 안건 반영 여부를 중심으로 사업별 국회 심의 현황을 정확히 분석해 대응 시급성을 재분류했다. 예결위원·상임위 간사·기획재정부 과장 등 주요 인사별 컨텍포인트를 다시 정리해 ‘누구에게·언제·무슨 논리로 설명할 것인지’ 맞춤형 전략을 수립했다.

또한 증액에 부정적인 사업은 반영 필요성 등 핵심 논리를 간결하게 재정리해 대응 전략을 강화했다.
강위원 경제부지사는 “국회 예결소위의 심사가 본격화된 지금 사업별 반영 가능성을 냉철하게 판단하고 논리를 정비해야 할 시점”이라며 “향후 10일이 승부처”라고 말했다.
또 “국회 증액은 정부 동의가 필수적인 점을 고려해 심의 후반부에는 기재부의 증액 동의 여부가 관건”이라며 “각 부처의 자료 요청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해 예산 반영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예결위 의결 확정 마지막 순간까지 강위원 부지사를 중심으로 한 ‘기동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국회·기재부와의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주요 건의사업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 전남도, 균형발전사업 평가 전국 유일 3관왕 달성
- 전남도, 지역자원 기반 창업 성과 조명
- 오미화 도의원, 전남도 청년정책, 비전ㆍ예산ㆍ체감 모두 낮아
- 전남도, 자활사업 빛났다…복지부 지역센터 성과평가서 두각
- 전남도, 정보시스템실 화재 대응 역량 강화
- 김영록 지사, “인공태양 연구시설, 최적지 전남 나주시로“
- 전남도-식약처, 단순처리 농수산물 안전관리 강화 '맞손'
- 전남 한돈인, 쾌적한 축산환경 조성·한돈산업 발전 다짐
- 전남장애인예술협회, 발대식 및 회원전 성황리 개최
- 전남도, 2028 완도국제해조류산업박람회 계획서 제출
- 전남 청년도전지원사업 또래지원단, 청렴콘텐츠 공모 '최우수상' 수상
- 전국호남향우총연합회 화합한마당… 6천 향우 고향 발전·화합 다짐
-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위, 정청래 대표에 광주·호남 발전 핵심과제 공식 건의
- 이재태 도의원, “전남교육재정, 구조적 위기 직면…‘근본적 재정개혁’ 촉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