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자율시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사례 공유로 교육격차 최소화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이 지역과 학교의 다양한 여건을 반영한 특색교육과정 운영으로 교육격차를 줄이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특히 농산어촌·도서벽지 등 지역 간 격차가 큰 전남의 특수성을 고려해, 학교가 처한 여건과 상관없이 모든 학생이 적정 수준의 교육과정을 보장받을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자율시간 확대, 공동교육과정 활성화, 지역 연계 교육과정 발굴 등을 통해 학교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데 역점을 둔다.
이와 관련, 전남교육청은 21일 보성에서 지역과 학교의 다양한 여건을 반영한 특색있는 학교교육과정 설계·운영을 위한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
이번 연수는 중학교 교감 및 교육과정 담당자 등 현장 교원들이 학교자율시간과 공동교육과정 사례를 공유하며 학교 상황에 최적화된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연수는 ▲교육과정 설계 방향 제시 ▲학교자율시간 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 발표 ▲학교자율시간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 설계·운영 경험 공유 등 학교 현장의 생생한 실천 경험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연수에 참여한 한 교사는 “학교 환경에 따라 교육 기회의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공동교육과정과 학교자율시간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하게 성장할 수 있는 길을 만들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박철완 중등교육과정은 “중학교 교육과정은 학교의 특성과 지역 여건을 반영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학교자율시간과 공동교육과정 운영을 내실화해 지역 격차를 넘어 모든 학생이 자신의 학교에서 의미 있는 배움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전남교육청, 해룡중서 AI 교육과 인성교육 조화 방안 모색
- 전남교육청, 교육공무직 노조 파업 대비 '비상 체제' 가동
- 전남교육청, ‘학생 성취 중심 평가’ 역랑 높인다
- “전남형 다문화교육, 현장에 묻고 함께 답하다”
- 전남교육청, 최소 성취수준 보장으로 학습결손 줄인다
- 전남교육청, 직업계고 학생 ‘공무원 모의 면접’ 지도
- 전남교육청, 학생독립운동과 DJ정신 하나로 잇다
- 전남 교사들이 주도한 2030교실 수업 성과 ‘한자리’
- 전남교육청, 지역과 함께하는 ‘전남형 방과후학교’ 내실화한다
- 전남교육청, 전담조사관 함께 회복중심 학교폭력 대응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