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는 현지시간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34차 5GAA(5G Automotive Association) 총회에서 인공위성 기반의 차세대 음성통신 솔루션을 시연했다. 이 솔루션은 비지상 통신망(NTN, Non-Terrestrial Networks)을 활용해 차량 내에서 대화 수준의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NTN 기반 통신은 사막이나 산악 지대처럼 기존 통신망이 닿지 않는 지역이나, 재난 상황에서 통신 인프라가 마비될 경우에도 운전자와 구조팀 간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LG전자는 여기에 AI 음성처리 기술을 접목해 음성 메시지의 데이터를 압축함으로써 전송 속도를 10배 이상 향상시켰고, 기존에 문자에만 국한되던 위성통신 영역을 실질적인 음성 대화로 확장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차량 내부의 긴급통화 버튼을 누르기만 해도 문자 입력 없이 음성으로 상황을 전달할 수 있으며, 구조센터는 이를 실시간으로 수신해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LG전자는 이번 시연에서 차량이 파리 시내를 이동하는 동안 지상과 비지상 통신망을 자동 전환하며 끊김 없는 음성통신을 선보였다. 관람객들은 위성망을 통해 송신된 메시지를 지상망이 연결된 지역에서 실시간 확인하며, LG전자의 첨단 커넥티드 모빌리티 기술을 직접 체험했다.
이외에도 LG전자는 차량의 위치와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 분석해 최적의 통신망을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함께 공개했다. 이러한 기술력은 LG전자가 텔레매틱스, V2X, IVI 시스템 등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전환 핵심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LG전자 VS사업본부 VS연구소장 이상용 부사장은 “상황과 장소의 제약 없는 자동차 연결성을 위한 차세대 음성통신 기술을 통해 커넥티드 모빌리티의 혁신을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 LG전자는 퓨로텍으로 글로벌 항균 소재 시장을 어떻게 공략하고 있나?
- LG전자는 텀블러 세척기 마이컵으로 어떤 B2B 시장을 공략하나?
- LG전자, 전기차 충전기 사업 종료 결정... 향후 전략은 무엇일까?
- LG전자는 2025 월드IT쇼에서 어떤 공감지능 기반 제품을 선보였나?
- LG전자, 듀오보 커피머신으로 Y세대 공략에 성공할까?
- LG전자는 어떻게 OLED TV 시장 점유율 52%를 달성했나?
- LG전자, 마린 글라스로 글로벌 탄소 감축 기술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까?
- LG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냉각을 위해 어떤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제공하나?
- LG전자가 서울책보고에서 선보이는 '틔운 미니' 체험 공간은 어떤 모습인가?
- LG전자, 세계 환경의 날 맞아 글로벌 친환경 캠페인 강화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