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기계로봇공학과 김표진 교수팀, NASA 에임스 연구센터와 함께 위·아래 구분 없는 우주정거장에서도 방향을 잃지 않는 로봇 나침반 기술 개발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기계로봇공학과 김표진 교수 연구팀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국제우주정거장(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과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도 로봇이 방향을 잃지 않고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디지털 트윈* 기반 시각 나침반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김표진 교수 연구팀이 NASA 연구팀과 함께 올해 3월 세계 최초로 구축·공개한 ISS 실내 자율 항법용 데이터세트 ‘애스트로비(Astrobeet)’를 활용한 후속 성과다. 연구팀은 해당 데이터세트를 기반으로 실제 우주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해 기술의 정확성과 실효성을 입증했다.
ISS는 미세중력 환경으로 위아래 구분이 없어 로봇이 방향을 인식하고 길을 찾기 어렵다.
특히 무중력 상태에서 운용되는 애스트로비 로봇은 제자리에서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움직임이 빈번하여 기존의 시각 기반 항법 기술로는 방향 인식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건물 구조가 수평·수직으로 정렬돼 있다는 가정에 기반한 ‘맨해튼 월드(Manhattan World)’ 모델처럼 공간의 구조적 규칙성을 활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ISS 내부는 설비와 부유 물체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선이나 벽과 같은 구조적 특징이 가려지거나 흐려지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인식이 어렵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 기술로 실내 3차원 공간의 방향 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해 우주 로봇이 누적 오차 없이 절대적인 자세(Drift-Free & Absolute Orientation)를 정확히 측위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개발했다.
핵심 원리는 실제 촬영 영상에서 감지된 구조적 선을 디지털 트윈 모델과 비교·검증해 혼동되거나 불필요한 선을 제거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구조만을 선별하는 것이다.
우주 로봇은 이렇게 지능적으로 선별된, 신뢰할 수 있는 선과 평면만을 활용해 3차원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방향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우주 로봇은 물론, 복잡한 실내 환경에서도 정확하고 경량화된 자율 비행이 가능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연구팀은 GIST–NASA 공동연구로 세계 최초 구축·공개한 ISS 자율비행 로봇용 데이터세트를 활용한 실험을 통해 이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이 실험에서 로봇의 회전 정확도를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인 ‘절대 회전 오차(Absolute Rotation Error, ARE)’는 평균 1.4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이 기술이 정밀한 자세 제어나 탐사·작업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프레임당 약 20밀리초(0.02초)의 연산 속도로 실시간 적용 가능성도 확인했다.
김표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우주정거장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도 로봇이 방향을 잃지 않고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든 기술”이라며, “앞으로 이러한 디지털 트윈 기반 기술이 공항, 병원, 창고 등 복잡한 실내 공간에서도 자율 로봇의 정확한 길찾기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GIST 기계로봇공학과 김표진 교수가 지도하고 함중일 박사과정생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NRF) 우수신진연구사업과 GIST 해외 공동연구 장학 프로그램(IREF, International Research Experience Fellowship)의 지원을 받았으며, NASA의 주요 연구센터 중 하나인 에임스 연구센터(Ames Research Center)와 공동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우주로봇 분야의 대표 학술행사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국제 전기전자공학자협회) 국제 우주임무 정보기술 및 우주컴퓨팅 학술대회(SMC-IT/SCC 2025)’와 연계해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사이언스 센터’에서 열린 ‘제2회 우주 로봇 워크숍(2nd Space Robotics Workshop)’에서 지난 7월 29일(화) 발표됐다.
- GIST, 이노코어 연구단 첫 성과 발표 뇌질환 조기진단 위한 AI 융합연구 방향 제시
- GIST-고려대, 피부 접촉 없이 선명한 3D 생체 영상 기술 개발
- GIST x 포스코미술관 교류전, '빛, 창조를 잇다'... 오룡아트홀서 10월 30일까지
- GIST, 북극 해빙 변화 분석 통해 기후요소 간 복합작용 규명… 에어로졸의 영향 새롭게 밝혀
- GIST, 2025년 하반기 학위수여식 개최... AI·디지털 시대 이끌 미래인재 201명 배출
- GIST, 초등학생 대상‘AI 과학캠프’개최... AI 특화 체험 어린이 과학기술 진로 탐색 지원
- GIST–MIT 글로벌 R&D 협력허브 출범 인간중심‘피지컬 AI’혁신 이끈다
- [영화 평론] 악마가 이사왔다 “기발한 상상력과 무해한 웃음, 그러나 깊이 없는 울림”
- [내일날씨]금요일 남부지방 중심 소나기...낮 기온 최고 36도 무더위 계속돼요
- [경영 레이다] KCC, 노루홀딩스 지분 7.17% 확보…상법 개정 속 경영권 긴장 고조
- 20주년 맞은 ‘광주 에이스 페어(ACE Fair)’ 아시아 대표 융복합콘텐츠 페스티벌로 진화
- 광주시, 경관위원회 심의위원 58명 공개모집
- 전남대 AI융합대학 학생들, 특허청 지식재산 썸머스쿨서 두각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 ㈜키즈라라, '업무협약' 체결
- 전남대, ‘과학계의 오스카’ 브레이크스루상 수상자 배출
- “여름방학 반납, 대학생들의 AI·로봇 개발 도전기”... GIST, AI 창의융합경진대회 9회째 개최
- GIST, ‘기술경영 포럼’ 개최... AI 시대 산업전환·지역혁신 방안 모색
- “집단 폐사 새우 양식 ‘재앙’ 막는다”... GIST, 새우 흰반점병 15분 진단 전기화학 센서 개발
- GIST-광주TP, ‘광주형 RE100 산업단지’심포지엄 개최
- GIST 김강욱 교수, ‘전파 분야 측정불확도: 이론과 실무’ 출간
- GIST-버지니아대, 종양 깊숙 침투... 체내 오래 머무는 암세포 정밀 공격 '항암제 플랫폼' 개발
- “혈액검사, 한 방울이면 정확도는 병원 수준”... GIST, 차세대 바이오센서로 병원급 혈액검사 구현
- GIST, 교원·학생·직원 모두 참여한 ‘청렴집중주간’호응 속 마무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