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구청장, 위장전입 논란 관련 SNS통해 책임 있는 정치·시민사회 역할 강조... 시민의 합의 모아 속히 대책 마련해야
박병규 광산구청장이 최근 광산구 삼도동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부지 선정 과정에서 불거진 위장전입 논란과 사업 중단 결정에 대해 3일 저녁 자신의 SNS를 통해 절박한 입장을 밝혔다.
박 구청장은 이 글에서 광주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자원회수시설 없는 지자체임을 지적하며, “2030년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 전면금지라는 국가 차원의 일정이 이미 결정되어 있다. 이대로라면 광주는 쓰레기 대란에 직면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박 구청장은 “광산구는 객관적 정보 제공을 위한 권역별 설명회, 21개 동 순회 설명회, 하남 자원회수시설 벤치마킹 등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소통의 노력을 강조했다. 그는 “압도적 다수의 주민이 자원회수시설 필요성에 공감했고, 일부에선 우리 동네에 들어와도 괜찮다는 의견까지 나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위장전입 논란으로 사업이 중단되면서, 박 구청장은 “이대로라면 2030년까지 자원회수시설이 완공되지 못해 사업 자체가 좌초할 수 있다. 이는 시민 모두에게 피해가 돌아오는 일”이라고 우려했다. “정치권과 지역 리더들이 책임 있는 결단을 내려야 하며,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공동체적 과제임”을 강조했다.
박 구청장은 “법 위반은 법대로 엄정히 처리하되, 자원회수시설 설치 문제는 광주 전체의 미래가 달린 문제”라며 정치적 이기주의나 지역 이기주의를 경계했다. “현 부지가 아니어도 좋으니 시민의 합의를 모아 속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끝으로 박병규 구청장은 “市민의 삶과 환경, 미래세대를 위한 기반 시설이 일부 반대나 정치적 계산으로 좌초되어서는 안 된다”며 정치권과 시민사회 모두의 책임 있는 역할을 촉구했다.
한편, 광주시는 위장전입 의혹이 사실로 확인됨에 따라 자원회수시설 사업을 잠정 중단했다. 이에 따라 광주의 쓰레기 처리 문제는 한층 더 불확실한 국면에 접어들게 됐다.
- 광주송정역세권 개발 시동, KTX투자선도지구 본궤도
- 블랙이글스, 광주 광산구 가을 하늘 활주... 축제 열기 달군다
- 광산구의회, ‘반려견순찰대 활성화’ 정책간담회 개최
- 광주시, “공공기관장 임기 일치‧알박기 방지 조례 충분히 시행 중”…시의회 지적에 반박
- 광주 광산구, ‘천 원 밥상’... 고독사 예방 나눔 선순환 확산
- [사건 사고] 평택·광주·안성서 연쇄 폭발… 중소공장 산업재해 '경고등'
- 광주 광산구-한국환경연구원, 기후위기 대응 위해 '맞손'
- 광산구의회, 오는 4일 ‘제299회 임시회’ 개회
- 광주시, 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 절차 잠정 중단
- 가을 향기 물씬나는 '제3회 광산뮤직ON페스티벌'
- “웰컴 투 광주”… 세계양궁대회 선수단 환영
- 광주 광산구, '세계양궁대회 위생 안전관리 상황실' 운영
- 민주당 평당원 최고위원 후보 12명 최종 확정 발표... 오는 5~6일 당원 배심원단 심사
- 광주시-17개 대학, ‘광주RISE 비전’ 선포
- 강기정 광주시장, 세계양궁선수권대회 개막 오프닝 쇼 ‘활의 나라’ 참석
- [내일날씨]9월 첫 금요일 전국 흐리고 중부지방에 소나기...낮기온 33도 "아직도 여름"
- ‘시간을 달리는 광산구’ 사진 공모전 진행
- 사회적 경제 가치 확산... 광주 광산구, ‘상생광산장터’ 운영
- 광주시, 삼거동 위장전입 관련자 업무방해로 고소키로
- 강기정 광주시장, 광주연구원 개원 2주년 기념 '정책토론회' 참석
- 광주 대표 문화축제... 대인야시장, 가을밤 더 풍성한 예술밥상 차린다
- 조인철 의원, ‘AI 데이터 이용 정책’ 제1차 토론회 공동 주최
- 광주 광산구, 여성 1인가구 위한 '안심홈세트' 지원
- 광주광역시의회, 5일 제336회 임시회 폐회
- 광주여성가족재단 대표·광주테크노파크 원장 인사청문특위 활동 본격 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