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책 차질 우려…혐의자 대상 업무방해 고소 검토
최적후보지 자격은 위장전입 혐의 확정 이후 결정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광산구 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 과정에서 불거진 위장전입 의혹과 관련, 경찰 수사결과가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됨에 따라 입지선정 절차를 잠정 중단한다고 2일 밝혔다.
또 위장전입 혐의로 인해 국가정책인 ‘2030 가연성생활폐기물 직매립금지’ 추진에 차질이 발생한 만큼, 광주시는 혐의자들에 대해 업무방해죄 고소도 검토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현재 최적 후보지로 결정된 광산구 삼거동을 대상으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해왔으나 위장전입 관련 사유로 후속절차인 주민 설명회와 공청회를 중단한다.
광주시는 2021년 폐기물관리법 개정 이후 자치구와 협의를 거쳐 광역자원회수시설 설치를 추진해왔으며,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기피 현상을 고려해 공모방식을 도입했다. 두 차례 공모 무산 후 ‘선 자치구 신청, 후 시 사업추진’ 방식으로 진행된 3차 공모에서 광산구 삼거동이 지난해 12월 최적 후보지로 결정됐다.
3차 공모에서 신청자격인 ‘부지경계 300m이내 거주세대주 50%이상 동의’와 관련해 삼거동은 총 88세대중 48세대 찬성(54.5%)했다. 그러나 지난 5월 지역주민 고소·고발로 위장전입 의혹이 제기됐다.
광산경찰서는 주민등록법 위반 혐의로 위장전입자 12명을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광주시는 공모기준인 ‘거주세대주 50%이상 동의’ 충족 여부에 따른 후보지 자격을 위장전입 혐의 확정 이후에 결정할 계획이다.
정현윤 기후환경국장은 “경찰 기소의견에 따라 후속절차를 잠정 중단하고, 검찰의 기소여부를 지켜보겠다”며 “자원회수시설은 국가 정책사업이자 시민 생활에 필수시설인 만큼 향후 추진과정을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산구는 광주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 선정 과정에서 불거진 위장전입 의혹을 수사한 경찰이 문제가 된 사실을 확인하고, 12명을 불구속 송치했다.
광산구는 이 문제와 관련해 전입신고 당시 관련법에 따른 절차대로 처리했으며, 광역자원회수시설 건립 사업 추진 등에 관한 조치 사항은 광주광역시의 결정과 판단에 따른다는 방침이다.
-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위원회 출범식’ 개최... "AI중심도시 광주가 최적지”
- '광주·전남 초광역권계획위원회' 공식 출범
- 광주시, 8월말 현재... 도시철도 2호선 도로 개방률 56%
- 광주시, 시민과 함께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 나선다
- 광주시, 지역경제 이끄는 '모범 기업인' 찾는다
- 광주시, 지역대학과 손잡고 '재난안전 전문가' 양성
- 광주시, “공공기관장 임기 일치‧알박기 방지 조례 충분히 시행 중”…시의회 지적에 반박
- '세계 105개국 양궁 대표단', 광주로 집결... 문화·스포츠 어우러진 "국제 외교무대" 마련
- 광주 광산구, ‘천 원 밥상’... 고독사 예방 나눔 선순환 확산
- 광주시, 극심한 가뭄 강릉시에 '생수 1만병 긴급지원'
- 광주시, 기아챔피언스필드 관람석 전면 교체 완료
- 광주 광산구-한국환경연구원, 기후위기 대응 위해 '맞손'
- 광주시, ‘광주 미래전략 전담팀’ 출범... 국정과제 이행 위한 전략 본격 가동
- 광주시, ‘탄소중립포인트제도’ 국내 최초 인증
- 광주시, 가족과 함께하는 이색 임용식 개최
- 광주시, 외국인 유학생 지역 적응 돕는다
- 광주시, ‘박물관·미술관 박람회’ 성공개최 지원
- 안도걸 의원, '26년도 정부 예산안'... "광주 동남을 주요사업 1,543억원 반영"
- 광주 서구, 공무원 대상 청렴 교육 실시
- 광주시, 대구식품산업전서 ‘달빛동맹관’ 운영
- 하남농협, ‘범농협 사회공헌상’영예
- 서창농협, 가락시장 도매시장법인 ㈜중앙청과와 '업무협약' 체결
- 강기정 광주시장, 세계양궁선수권대회 개막 오프닝 쇼 ‘활의 나라’ 참석
- 박수기 시의원, 계획관리지역 창고시설 규제 문제 '정책토론회' 개최
- 박병규 광산구청장, “자원회수시설 중단… 쓰레기 대란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호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