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는 대미 관세 부담 심화 등 어려운 대외 환경 속에서도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1조 8,751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5.5% 증가,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6,889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7.7% 늘었으며, 전년 동기 대비 8.4% 감소했다. 매출은 역대 3분기 중 두 번째로 높고, 영업이익은 최근 시장 전망치를 10% 이상 웃돌았다.
통상환경 변화로 인한 관세 부담과 인력 구조조정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있었으나, 생활가전 사업이 견조한 경쟁력을 유지했고 전장 사업이 역대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기록한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써 주력 및 미래 성장사업의 고른 성과가 시장의 우려를 상쇄하며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 달성에 기여했다.
LG전자는 전장과 냉난방공조 등 B2B 사업, 가전구독 및 webOS 등 Non-HW 영역, 온라인 사업을 중심으로 ‘질적 성장’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자금 조달을 계획하며 사업 체질개선과 미래 성장 가속화를 추진 중이다.
생활가전 부문은 미국 수출물량 관세 부담과 글로벌 수요 회복 지연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시장 지배력을 유지했다. 생산지 운영 효율화와 자원투입 최적화를 통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고, 구독형 서비스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미디어엔터테인먼트 부문은 희망퇴직 관련 일회성 비용이 반영됐고, TV 판매 경쟁 심화로 마케팅비가 증가했다. LG전자는 webOS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통해 광고사업 고도화와 콘텐츠 확대에 집중하며 수익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또한 TV 수요가 견조한 ‘글로벌 사우스’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전장 사업은 프리미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매출 확대에 힘입어 3분기 역대 최고 수익성을 기록한 것으로 예상된다. 차량용 콘텐츠 플랫폼 등으로 사업모델을 다변화하고, 전기차 구동부품과 램프 사업의 구조 효율화를 통해 높은 수주잔고 기반의 안정적 성장이 기대된다.
냉난방공조 부문은 상업용 공조시스템과 산업·발전용 칠러를 중심으로 미래 성장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북미, 중남미, 중동, 아시아 지역에서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등 대규모 수주가 이어지며 사업 잠재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또한 데이터센터용 액체냉각 솔루션의 상용화도 계획대로 추진 중이다.
이번 잠정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른 예상치이며, LG전자는 이달 말 실적설명회를 통해 2025년 3분기 순이익과 사업본부별 실적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 LG전자, 아베오쿠타 주민 대상 지원 사업은?
- LG전자, 무선이어폰 시장 공략 강화 전략은?
- LG전자, 미국 대형 빌더와 독점 계약으로 B2B 가전 사업 확대했나?
- LG전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콘퍼런스 2025’에서 어떤 혁신 논의했나?
-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으로 본사 구주매출 환수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은?
- 마이크로소프트, 월급 통장 노리는 ‘급여 해적’ 포착… 피싱 공격으로 급여 지급 정보 변경 시도
- “문자링크 미리보기만 해도 감염?” 개인이 할 수 있는 이중 방어 설정…정부와 업계 모두 최고 관심사는 ‘AI 보안 자동화’...
- '바퀴 달린 스마트폰' SDV 경쟁 뜨거운데...테슬라·BYD 넘을 현대차 전략은
- LG전자가 프리즈 런던 2025에서 전하는 한국 수묵 추상화 전시 내용은?
- “일반 기업도 업무에 개인 Gmail 쓰면 안 되는데...” SK쉴더스, 직원의 개인 Gmail 자동 로그인으로 내부 문서 털렸다… 그룹 및 협력사 파급력 조사
- LG전자가 선보인 ‘LG 매그니트 액티브 마이크로 LED’의 주요 특징은?
- LG전자, ‘에스디버스’ 통해 SDV 시대 선도 나선 배경은?
- LG전자 SK엔무브 GRC와 손잡고 AI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솔루션 강화하나?
- LG전자·KT, 양자 인터넷 통신 공동 연구로 초보안 기술 강화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