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선제대응지역·산업 대전환 등 국가차원 추진위해 협력키로
전라남도는 5일 광양만권소재부품지식산업센터에서 ‘전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4차 회의를 열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추진 경과를 공유하며 지역 철강산업 위기 대응전략을 논의했다.
회의는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 주재로, 광양시, 순천시, 유관기관과 철강기업 등 협의체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전남도는 회의에서, 광양시는 국가 철강 생산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철강산업의 중추적 거점이지만,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중국산 저가 철강재 유입,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 등으로 중소 철강업체와 협력사들이 연쇄적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광양시 철강기업의 최근 2년간 생산은 9.4%, 수출은 19.3% 감소했으며, 지방소득세 부과·징수액도 같은 기간 76% 급감했다.
이에 전남도는 광양시가 ‘철강산업 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받도록 행정절차를 본격화하고, 실태조사·기업 의견 수렴·사업 발굴과 정책 건의 등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이번 위기를 단순한 경기침체가 아닌 산업 체질 전환의 기회로 삼겠다”며 “철강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 재정지원이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되도록 민·관이 협력해 국회와 정부에 지속해서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철강산업의 근본적 체질 개선을 위해 ‘광양만권 메가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저탄소 설비 전환·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스마트 제조체계 구축 등을 통해 광양만권을 ‘스마트에너지 기반 친환경 철강산업 클러스터’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국가기간산업 지원 특별법(K-스틸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 주도 구조조정·규제특례·전기요금 인하 등 지원정책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 전남 농수산식품 수출 9월까지... '6억6천만달러' 역대 최고
- 전남도, 전남 쌀 산업 경쟁력 강화 기반 마련
- 김정희 교육위원장, “전남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교육 현안 및 미래 대응 종합 개선책 제시”
- 전남도의회 안전건설소방위원회, 행정사무감사 현지조사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 ‘여수 묘도 LNG 허브터미널’ 탱크 지붕 상량식
- 해남군, “재생에너지자립도시 퍼즐이 맞춰졌다”... 전남 분산에너지특구 최종 선정 ‘환영’
- 전남도-시군, 전남 사랑애 서포터즈 67만명 달성 다짐
- 2026여수세계섬박람회 조직위, 섬박람회 홍보영상 공모
- 고흥군, 공직자들 따뜻한 보금자리 선물 ‘천사랑의 집’ 기증
- 전남도, 전남 자립준비청년 취업률 10% 상승
- 김영록 지사, 전남 전역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환영
- 천고마비의 계절, 전남서 단풍길 걸으며 힐링어때요
- 전남 기업 4개사, CES 혁신상 5개 부문 수상
- 전남도, 지역 혁신 창업의 새 시대 연다
- 전남도, 으뜸한우 경진서 조정화 농가 영예의 종합챔피언
- 전남도, 지역 기반 이민·외국인 정책 해법 모색
- 김영록 지사, 구례군 정책비전투어 개최..."섬진강처럼 흐르고, 지리산처럼 높이 도약" 10대 비전 제시
- 김영록 지사, 구례군 미래비전 제시… "1.4조 양수발전소·AI 수도 도약, 주민 이익 공유 약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