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폭력 피해 증가에도 전담 지원체계 전무
여성권익시설 19개소·상담원 90명 vs 남성 피해 지원시설·상담원‘0’
양성평등기금 매년 증액에도, 여전히 여성 중심 사업에 집중... “성별을 넘어 모두가 존중받는 도시, 광주가 되어야”
정부가 성평등가족부로 명칭을 변경하며 성평등 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는 여전히 여성 중심의 사업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광주광역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 소속 정다은 의원(더불어민주당·북구2)은 11월 7일 광주시 여성가족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정부의 성평등 기조와 달리 현장에서는 남성이라는 이유로 보호와 지원에서 소외되는 현실이 이어지고 있다”며, “이는 진정한 성평등과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광주지역 최근 5년간 접수된 남성폭력 피해자 상담 건수는 ▲2021년 35건, ▲2022년 58건, ▲2023년 58건, ▲2024년 50건에서 ▲2025년 9월 기준 61건으로, 지난해보다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광주시에는 남성폭력 피해자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전담 상담원이나 기관이 전무한 반면, 여성권익시설은 19개소(가정폭력피해자·성매매·성폭력피해 상담소 및 보호시설)에 상담원 90여 명이 배치되어 있어 성별 간 지원 인프라의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다.
또한 광주시 양성평등기금 사업 현황을 보면 ▲2021년 9천2백만 원, ▲2022년 8천8백만 원, ▲2023년 9천만 원, ▲2024년 9천5백만 원, ▲2025년 1억 원으로 매년 조금씩 증액돼 편성·집행되고 있다.
하지만 주요 사업은 ‘광주여성대회’, ‘3.8세계여성의 날 기념행사’, ‘여성사회참여 및 양성평등사업(공모사업)’ 등 여성 중심 행사 위주로 편성돼 있으며, 실질적인 양성평등 실현이나 남성 참여 확대를 위한 사업은 찾아보기 어렵다.
정다은 의원은 “양성평등은 성별을 넘어 모두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며 “일부 영역에서는 오히려 남성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광주시도 변화된 성평등 기조에 맞춰 균형 잡힌 정책으로 전환하고, 남성과 여성 모두가 폭력과 차별로부터 자유로운 도시를 만들기 위해 적극적으로 제도 개선과 예산 반영에 나서야 한다”며 “이번 행정사무감사를 계기로 ‘성평등 광주’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 광주시,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기업유치 본격화
- 광주시교육청, 8일 공립 유·초·특수교사 임용 1차 시험
- 채은지 시의원, 광주시 산하기관 9·11개월 ‘쪼개기 계약’ 300명 넘어… 근절 대책 요구
- 전진숙 의원 ‘광주 군공항 이전’, 올해 안에 밑그림 제시해 달라
- 광주 남구, “정신장애 풋살팀, 힘찬 드리블 응원을”
- [뉴스워커_국민의 시선]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광주 방문...그러나 과거 발언에 발목 잡혀
- 광주 광산구, “주민과 함께” 역사와 전통 잇는 송정골 어울림한마당
- 광주희망사다리교육재단, 기부금 1천200만 원 전달받아
- 광주 동구,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 '최우수상' 수상
- 광주시교육청, 청렴 슬로건 숏폼 영상 공모전 시상식 개최
- 광주광역시의회, ‘2025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수상자 격려
- ‘광주 AI 2단계, 시민 체감 부족 vs 지역경제 실질 기여’… 강수훈 시의원·광주시 입장 엇갈려
- 안도걸 의원, 광주를 명실상부한 ‘국가 컴퓨팅자원센터’ 중심 도시로
- 광주경실련 창립 35주년 기념 '후원의 밤' 개최
- [포토] 광주 서구, 주민 참여형 ‘인권문화제’ 개최
- 북구, ‘건강주치의 지원 협의체’ 위원 공개모집... 주민 건강 정책 자문기구 구성 나서
- 광산구, 동포들의 손맛·정 담은 김치 담그기 경연 펼쳐
- 광주시, 배달음식 위생관리 강화…불시점검
- [포토]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대인예술야시장 현장 방문
- 이숙희 북구의원, ‘산불방지 및 지원 조례 제정’ 의견수렴 간담회 개최
- 강기정 시장, 대인예술야시장서 현장 소통
- 광주 시민·농민 1000여명, '농업인의 날' 한마당
- 광주 북구, 복지로 하나 되는 북구... ‘복지 한마당’ 열린다
- 홍기월 시의원, “교권 침해 대응 및 현장학습 보조 인력, 제도 개선 촉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