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지방협력회의서 “지방소비세 확대는 수도권 편중 심화” 지적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1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9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지방교부세 중심의 재정분권 필요성을 강력히 건의했다.

회의에선 대통령과 국무총리, 17개 시·도지사, 주요 부처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과 지방 간 재정분권 추진 방향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특히 지방교부세 확대를 통한 재정분권 논의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도 깊은 공감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록 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지방교부세 중심의 분권 구조로 전환해야 지방이 살고, 국가가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방소비세 확대 방식은 인구와 소비가 많은 수도권과 대도시에 유리한 구조”라며 “지방소비세는 부가가치세의 일정 비율을 지방에 나줘주는 제도로, 인구와 소비가 많은 지역일수록 세수가 더 많이 돌아간다. 지방소비세율을 높이면 내국세가 줄어 지방교부세가 함께 감소하는 역효과가 발생한다”고 문제점을 짚었다. 특히 “시군은 애초에 지방소비세 배분 대상이 아니어서 오히려 재정 여건이 악화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지방교부세 중심의 재정분권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영록 지사는 “지방교부세는 수도권 편중을 완화하고 지역 간 균형을 이루는 가장 합리적 재정분권 제도”라며 “교부세율을 높이면 비수도권 시군의 자립기반을 강화해 지방재정이 보다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지방분권의 핵심은 단순한 권한 이양이 아니라 이를 뒷받침할 재정 자립 기반의 확충”이라며 “이번 재정분권 논의가 수도권 중심의 구조를 넘어, 진정한 균형발전의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전남도는 그동안 ▲지방교부세율 5%p 상향 ▲지방소멸대응기금 3조 원 확대 및 영구 운영 등 실질적 재정분권 개선 방안을 정부, 국회 등에 지속해서 건의했다.
- 전남도, 영농폐기물 집중 수거 나선다... 12월 15일까지
- 윤명희 도의원, 폐산업시설의 복합문화공간 활용을 위한 콘텐츠 지속 발굴해야
- 전남해양수산과학원, 참김·뱀장어 등 종자 생산 결실
- 전남도, 청정 수산물로 밀라노 동계올림픽 국가대표 응원
- ‘12ᐧ29 여객기참사 피해자 지원ᐧ희생자 추모위원회’ 출범
- 최동익 도의원,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최종 선정 앞두고 ‘전남도 총력 대응’ 주문
- 정철 도의원 “교육장 공모제, 제도적 안착으로 미래교육 모델 완성해야”
- 손남일 도의원, “영산강 자전거길 영암구간 장기 답보… 행정 연속성 확보 시급”
- 김주웅 도의원, 전남도 ‘양곡유통산업’ 통합 구축 나서야
- 박원종 도의원, 공모사업 참여 격차 해소해야… 교육지원청의 적극 홍보 주문
- 김성일 도의원, 전임 센터장 없는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실효성 의문
- 전남도, 민간단체와 협력해 취약계층 따뜻한 겨울나기 온힘
- 여수서 대규모 지진 대비 유관기관 현장 협업체계 점검
- 재서귀포시전남도민회, ‘인공태양 연구시설 전남유치’ 지지 선언
- 김영록 지사 "석유화학 위기, 미래 신산업으로 대전환" 약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