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자스쿨 제치고 단일 매장 1위(730개) 등극
최근 침체에 빠진 프랜차이즈 피자 업계가 인수 및 파산 신청 등 다양한 소식을 전하고 있다. 반올림피자가 오구쌀피자를 인수하게 되면서 그간 이어진 도미노피자-피자헛의 양강 구도에 변화가 예고됐다.
2011년 창립한 반올림피자는 아이유, 지코, 지예은 등 인기 스타를 광고 모델로 기용해 화제가 됐다. 이처럼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최근 매출액과 점포 수가 부쩍 늘어났다.
<반올림피자 최근 3년간 매출액과 점포 수>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매출액 | 190억원 | 338억원 | 538억원 |
| 점포 수 | 297개 | 343개 | 360개 |
출처: 반올림피자
반올림피자는 지난달 27일 오구쌀피자(2006년 설립)를 인수하며 국내 단일 법인 피자 프랜차이즈 가맹점 순위 1위(약 730개)를 달성, 초거대 브랜드로 등극했다고 9일 밝혔다.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2023년 기준) 자료에 따르면 기존 가맹점 개수 1위는 피자스쿨(610개)이다. 한때 투톱으로 통한 도미노피자(369개)와 피자헛(328개)은 300개 대에 머물렀다. 오구쌀피자는 370개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때 500개가 넘기도 했다.
반올림피자는 이번 오구쌀피자 인수를 통해 보다 공격적인 확장이 가능할 전망이다. 최근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는 반올림피자에 오구쌀피자 마니아층이 합쳐져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반올림피자 영암 무화과 고르곤졸라 피자 [사진=반올림피자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59421_374016_112.png)
더욱이 국내 2위 브랜드 피자헛이 지난 11월 갑작스럽게 기업회생절차를 진행해 피자 업계 지각변동이 불가피해졌다. 당시 피자헛은 가맹점주들과 손해배상 소송 2심에서 패소하면서 210억원을 배상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에 상고심을 기다리면서 강제집행을 막기 위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반올림피자의 인수 발표로 오구쌀피자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예상도 나왔다. 이에 대해 반올림피자 관계자는 “기존 오구쌀피자 브랜드는 유지된다”며 “법인 하나에 두 브랜드로 당분간 운영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아울러 “완전한 통합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반올림피자 로고 [사진=반올림피자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59421_374014_99.png)
- 반올림피자, 4년만에 매출 4배 상승...단명한 게임 콘코드와 제휴로 반사이익까지
- 맘스터치도 드라이브 스루 매장 도입...선주문 후조리 원칙과 어울릴까
- 펩시 라이선스 소유한 롯데칠성음료, 제로 콜라 열풍에 싱글벙글
- 국민 간식 떡볶이, MZ세대 입맛 제대로 공략...성장세 한편에선 위생 문제 우려도
- 일부 소비자 불만에도 BHC가 콜라 돈받는 이유
- 피자 수난시대, 피자헛은 회생신청 중.. 배달음식 순위 중화요리에 밀려...
- 김가네 김용만 회장 입건에 또 터진 요식업계 오너리스크...가맹점주들 한숨
- 여대 시위 불똥이 써브웨이로..."시위 지지한다" 지점 명의 글에 논란 일파만파
- 롯데웰푸드, 희소가치 높은 안성재 잡았다...가나초콜릿 프리미엄 브랜드 필름 공개 임박
- 치킨 비싼 이유가 있었네...프랜차이즈 치킨 본사, 마진 최대 17% 가져가
- 유통 업계, 올해도 크리스마스 겨냥한 딸기 케이크 전쟁...소비자 "비싸도 너무 비싸"
- 이마트는 왜 동남아 최빈국 라오스에 노브랜드 점포를 냈을까
- 넥슨·롯데리아·버거킹...B급광고로 대박 터뜨린 기업들, 비결은
- 미스터피자 오너리스크에 피자헛 파산신청...반등 간절해진 대형 피자 프랜차이즈 업체들
- 피자헛 사례 지켜본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 본부 상대로 줄소송...승소 가능성 낮게 평가되는 까닭은
- 1세대 패밀리레스토랑 TGIF 영업 종료...빕스·아웃백·매드포갈릭 3파전 막 오른다
- 명품 공화국 대한민국...국내 3대 명품 플랫폼, 머스트잇·트렌비·발란 위기직면
- 이마트부터 롯데칠성음료까지...유통업계가 가상 모델에 주목하는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