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 혼란 초기라 예단 이르다는 의견도
최근 정국 혼란의 여파가 유통 업계까지 덮친 가운데 아직까지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동요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아직 비상 정국 1주차에 불과해 예단하기는 이르다는 전망도 나왔다.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일주일 동안 정국이 요동쳤다. 사회 전반적으로 대혼란이 이어지면서 유통 업계 또한 연말 대목을 맞아 기획됐던 행사가 축소되거나 취소됐다. 기업들의 마케팅 활동도 줄었다.
대내외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환율이 급등했고 일부 국가는 대한민국을 여행 주의 국가로 지정했다. 이에 한국으로 여행을 오는 외국인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다행히도 아직까지는 문제가 두드러지지는 않아 보인다. 주로 외국인이 많이 찾는 올리브영과 카카오프렌즈는 여전히 문전성시로 알려졌다.
![올리브영을 찾는 외국인 [사진=cj올리브영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59820_374618_3048.jpg)
올리브영은 한국을 찾는 외국인에게 필수코스처럼 인식된다. 특히 중국과 일본에서 오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올리브영 명동타운점의 경우 외국인 구매 고객이 하루 5000명이 넘는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평소와 큰 차이가 없다”고 최근 분위기를 전했다.
카카오프렌즈 역시 강남점과 홍대점을 중심으로 외국인들이 많이 찾고 있다.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들이 다양한 굿즈로 출시돼 있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제품 또한 많다. 카카오프렌즈 관계자 역시 "(비상 정국 전과)큰 차이는 없다"고 밝혔다.
![카카오프렌즈 강남점 [사진=카카오프렌즈]](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59820_374619_3115.jpg)
명동에 자리한 주요 백화점들도 아직까지 매출이나 방문자 수에는 큰 변화는 없다고 설명했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구체적인 매출이나 방문자 수를 공개할 수는 없다”면서도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알렸다.
다만 예단은 이르다는 의견도 많다. 초유의 상황이다 보니 비상 정국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하기 어려워서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제 일주일 밖에 지나지 않았고, 여전히 정국이 혼란스러운 상황이다”며 “기존에 한국 여행을 준비했던 외국인들이 줄줄이 취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 [불황에 유통이 뜬다 ④] 국내 평정하고 해외로 ... CJ올리브영 글로벌 사업 가속화
- 광고업계 확산하는 ‘남혐 논란’ 이번엔 카카오프렌즈...기업들 조심 또 조심
- 출시하면 히트하는 카카오 캐릭터, 4년 만에 나오는 쬬르디는 어떨까
- 10대에 인기 없는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규제로 반사이익 누릴까
- K뷰티 선봉장 CJ올리브영, 오늘드림 서비스 흥행...1시간 배송 어떻게 가능했나
- 가성비 쫓는 MZ세대 성지로 자리 잡은 다이소, 과자도 인기 폭발
- 또 반복된 롯데 유동성 위기 루머, 주요 계열사 이야기 들어보니
- 지하철역 이름까지 사들이며 힘 쏟은 CJ올리브영, 성수를 고집하는 이유는
- 유통 업계, 올해도 크리스마스 겨냥한 딸기 케이크 전쟁...소비자 "비싸도 너무 비싸"
- 스타벅스에 레고·다이소까지...성탄절 ‘어드벤트 캘린더’, 인기 한편에선 "너무 비싸" 논란도
- 가품 논란에 체면 구겼던 무신사, 어그부츠로 크림에 한방 날렸다
- "세일기간 가격 올려 소비자 기만"...유튜버 주장에 올리브영 "가격은 브랜드사 소관"
- 롯데도 신세계도 일부 지점만 호황...갈수록 심해지는 백화점 지역 편차
- 뱀띠 마케팅은 어렵다? 유통업계 전통 깨는 스타벅스·공차·크리스피도넛
- 국가애도기간 불꽃놀이 현대해양레저 철퇴...비판 한편에는 "과하다" 반론도
- 파리바게뜨 이어 이디야커피까지...선의로 시작한 선결제 문화 또 잡음
- 주7일제 너무 서둘렀나...CJ대한통운, 주말 출근 거부한 택배기사 해고 이슈로 시끌
- 백화점에서 화장품 구매는 옛말...올리브영·다이소·쿠팡·CU로 몰린다
- 1세대 패밀리레스토랑 TGIF 영업 종료...빕스·아웃백·매드포갈릭 3파전 막 오른다
- 2전3기 CJ올리브영, 미국 시장 본격 진출 예고...트럼프발 관세 영향은
- 창업 30년 바라보는 다이소, 가격 정책 불변 선언...1만원 화장품 출시는 루머
- CJ제일제당·SPC삼립·농심 등 국내 유통기업, 해외 유명 스포츠 구단과 협업하는 이유는
- 올리브영·다이소·G마켓 건기식 열풍 부는데...약국들은 우려의 목소리
- 편의점들도 건기식 시장 진출 예고...다이소 맹비난한 약사들 반응은
- CGV 희망퇴직에 롯데시네마·메가박스는 폐점...극장가 칼바람 유통업계까지 영향
- 주 7일 배송에는 대가가 따른다?...CJ대한통운, 기업 고객 택배비 조정 예고
- 24명 목숨 앗아간 산불 참사, 삼성·현대차가 손 내밀었다
- 비비고 만두에 CJ올리브영까지...그녀의 손길을 거쳐 모두 승승장구...비결은?
- 당일 배송, 커머스 업계 트렌드 됐다...쿠팡·CJ올리브영·다이소 모두 승승장구
- 신세계·현대·롯데 백화점 3사 1분기 모두 울었다...반등 가능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