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화장품 대세로 떠올라
K뷰티가 대세로 떠올라 수출액이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SKII와 설화수 등 기존의 인기 화장품에 이어 가성비 제품들이 각광을 받는다. 이에 가성비 화장품 시장을 주도해온 올리브영에 다이소, 컬리, 쿠팡, CU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매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국내 화장품 시장 규모는 17조3412억원으로 2018년 대비 12% 증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규모가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02억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이전 최대 수출액인 2021년 92억달러보다 10.9% 증가한 사상 최대 실적이다.
백화점이나 면세점이 주로 파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유명 회사의 고급 라인업은 여전히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고 수출에도 큰 부분을 차지한다. 다만 국내 시장에서는 가성비 화장품 시장에 밀리고 있다. 젊은 세대와 외국인에 큰 인기인 CJ올리브영이 부상하면서 고급 화장품들은 중년층 정도로 소비층이 제한됐다.
![올리브영을 찾는 외국인 [사진=CJ올리브영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1/365071_381463_2059.jpg)
올리브영은 그야말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에게 필수 관광 코스처럼 자리매김했다. 외국인이 주로 찾는 명동, 홍대 등 올리브영 매장은 지난해 상반기(1~5월) 외국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12% 신장했고 서울 명동타운 매장은 하루 평균 4000~5000명의 외국인이 몰려들었다.
올리브영의 성공을 확인한 국내 유통 기업들은 가성비 화장품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5000원이 넘는 물건은 판매하지 않는 다이소는 지난해 기준으로 59개의 브랜드를 입점시켜 총 466종의 상품을 운용하고 있으며, 다이소의 화장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50%가 증가했다.
![다이소에서 판매 중인 종근당건강 화장품 [사진=아성다이소]](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1/365071_381465_2333.jpg)
컬리 역시 뷰티 컬리를 통해 명품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고, 쿠팡은 재작년부터 고급 화장품 브랜드 전용관 ‘로켓럭셔리’를 오픈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 이를 개편한 ‘알럭스’를 선보이며 뷰티 사업을 한층 강화했다.
최근에는 편의점까지 본격적으로 뷰티 사업에 뛰어들었다. 국내 편의점 점포 수 1위 CU는 23일 색조 전용 화장품으로 제품군을 넓혀 립틴트, 립글로스 등을 파우치에 담아 사용 편의성을 높인 소용량 파우치 화장품을 선보였다.
![CU 파우치 화장품 [사진=BGF리테일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1/365071_381464_2148.jpg)
그동안 편의점에서는 립밤이나 클렌징 티슈 등 주로 급하게 필요한 제품을 판매해 왔다. 최근에는 피부 개선이나 관리를 목적으로 한 상품의 구매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실제 CU의 화장품 신장률은 매년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화장품 구매 패턴이 긴급, 일회성 수요에서 목적 구매로 변화하고 있어 가격과 편리성을 다 잡은 소용량 화장품 라인업을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며 “특히 스피큘, 홀로그램 패치 등 트렌드를 반영한 뷰티 상품을 발굴하여 경쟁력 있는 뷰티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을 것이다”고 전했다.
- CJ대한통운 주7일 배송 방침에 소비자들 환영...일부는 우려도
- K뷰티 선봉장 CJ올리브영, 오늘드림 서비스 흥행...1시간 배송 어떻게 가능했나
- 지하철역 이름까지 사들이며 힘 쏟은 CJ올리브영, 성수를 고집하는 이유는
- CU 매장서 인기 크림빵 이물질 혼입 논란...업체 대응 또 도마 위로
- 쿠팡·C커머스 공세에 SSG닷컴·G마켓 뭉쳤다...전망은 엇갈려
- 비상시국에도 외국인 필수 관광코스 건재...CJ올리브영·카카오프렌즈 인기 여전
- 또 터진 편의점 도시락 ‘창렬’ 논란...'흑백요리사' 협업한 CU 신제품에 소비자 불만
- 1인 가구 느는데 대용량이 통한다고?...편의점들이 대용량 제품 내놓는 이유
- "세일기간 가격 올려 소비자 기만"...유튜버 주장에 올리브영 "가격은 브랜드사 소관"
- 지마켓·알리, 타도 쿠팡 외치며 손 잡았다...2025년 합작법인 설립 예고
- 쿠팡 타도 외치며 지마켓과 손잡았는데...돌변한 알리익스프레스
- CJ대한통운, 을사년 새해부터 주 7일 배송한다...쿠팡에 뺏긴 1위 탈환할까
- 무신사 새벽 쿠폰 소동...200만원 주려다 1000억원 날릴 뻔했다
- 도서산간 취급받던 제주도 로켓배송 시대 연 쿠팡...요즘 관광객도 즐겨쓴다
- 주7일제 너무 서둘렀나...CJ대한통운, 주말 출근 거부한 택배기사 해고 이슈로 시끌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은 옛말...CU·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중심 굿즈 대세로
- 1세대 패밀리레스토랑 TGIF 영업 종료...빕스·아웃백·매드포갈릭 3파전 막 오른다
- CU·엔젤루카, GS25·무신사, 화장품 이어 옷까지...편의점이 변신한다
- '오징어게임2' 협업 제품 250만개나 판매한 GS25...창렬 논란 도시락 알고 보니
- 2전3기 CJ올리브영, 미국 시장 본격 진출 예고...트럼프발 관세 영향은
- 창업 30년 바라보는 다이소, 가격 정책 불변 선언...1만원 화장품 출시는 루머
- 밸런타인데이 편의점 3사, 매출 10% 이상 증가…내실 다지기 성공?
- 오리털 이어 짝퉁 영양제 논란...유통 플랫폼 관리 부실에 소비자 "빨리 대책 마련해라"
- 연매출 4조원 다이소, 화장품 이어 영양제 판다...최근 불거진 영양제 이슈 영향은
- 다이소, 건기식 판매 시작에 제약업체도 홍보 나서...약사들은 격앙
- 연매출 40조 넘긴 쿠팡, 대만 시장까지 눈독...국내 경쟁자들 행보도 주목
- 올리브영·다이소·G마켓 건기식 열풍 부는데...약국들은 우려의 목소리
- 코카콜라 잭콕에 펩시는 모히또로 응수...콜라 양대산맥 올해 신제품 전쟁
- 약국들 불매 조짐에 일양약품 백기...다이소 건기식 출시하자마자 암초
- 한때 손길 덜 가던 PB 상품, 고물가에 날개 달아...편의점 PB 매출도 늘었다
- 편의점들도 건기식 시장 진출 예고...다이소 맹비난한 약사들 반응은
- 올해도 찾아온 화이트데이, CU·GS25·세븐일레븐 편의점별 여심 저격 전략은
- 핸드폰·신발·공기청정기 쓰다가 반품...쿠팡 정책 악용한 빌런에 소비자 공분
- 키우는 고양이가 손님보다 소중하다?...CU, 손님 비꼬는 편의점주 글 논란
- CGV 희망퇴직에 롯데시네마·메가박스는 폐점...극장가 칼바람 유통업계까지 영향
- 주 7일 배송에는 대가가 따른다?...CJ대한통운, 기업 고객 택배비 조정 예고
- 24명 목숨 앗아간 산불 참사, 삼성·현대차가 손 내밀었다
- ‘캐시리스’ 현상이 다이소까지...일부 매장에서 현금 안 받는다
- 더 심해진 편의점 양극화...CU·GS25 웃고, 세븐일레븐·이마트24 울고
- 샤오미, 해외에선 인기인데 국내에선 유통망 확보도 어렵다?...“지속적 협력 모색 중”
- 이랜드 머리 굴리다 딱 걸렸네...빨간불 들어온 ‘킴스편의점’ 가맹사업
- 당일 배송, 커머스 업계 트렌드 됐다...쿠팡·CJ올리브영·다이소 모두 승승장구
- 논란으로 시작한 다이소 건기식 판매, 약사들 거센 반발에도 입점 제약회사 늘었다
- 신세계·현대·롯데 백화점 3사 1분기 모두 울었다...반등 가능할까
- 편의점 본고장 일본에 역수출하는 CU·GS25...일본 돈키호테 진출
- 화이트하임은 되고 육개장은 안 된다?...또 터진 가격 오류에 쿠팡 조치 바뀐 이유
- 韓 다이소 연매출 4조원 부러웠나...日 다이소, 한국 시장 기웃기웃
-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 14년 만에 역사 속으로...신도림 상권 빨간불?
- 올리브영·다이소에 이어 CU도 건기식 참전 선언...블루오션인가, 레드오션인가
- GS25·무신사, CU·올리브영과 또 붙는다...의류 이어 화장품까지 협업 확대
- GS25와 팝업스토어 차린 돈키호테, 한국 진출 가능성에 다이소·올리브영 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