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롯데쇼핑(14조)·신세계(35조) 뛰어넘어
쿠팡이 국내 유통기업 중 처음으로 연매출 40조원을 넘겼다. 이에 쿠팡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이 여기저기서 감지되면서 향후 경쟁 양상에 시선이 쏠렸다.
지난 26일 미국 증시에 상장된 쿠팡lnc(쿠팡)은 지난해 매출 41조2901억원으로 전년31조8298억원 대비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4분기로만 따져도 매출은 11조1139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28% 증가했다.
![쿠팡 로고 [사진=쿠팡]](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2/368962_386517_342.jpg)
지난해 연간 실적을 사업 부문별로 보면 핵심 사업인 커머스 분야(로켓배송·로켓프레시·마켓플레이스·로켓그로스) 매출은 36조4093억원으로 18% 증가했다.
해외 사업과 글로벌 온라인 명품 플랫폼 파페치 등을 포함한 성장 사업 매출은 4조8808억원으로 전년(1조299억원)보다 4배 이상 늘며 전체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쿠팡은 이로써 국내 유통기업 중 처음으로 연매출 40조원을 넘긴 기업이 됐다. 2010년 처음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업체가 14년 만에 괄목할 성적을 거뒀다. 2013년 4778억원의 매출은 11년 만에 무려 86배 뛰었다. 이미 온라인 유통업체 중에 적수가 없어진 지 오래고, 오프라인 강자들마저 꺾었다.
<국내 주요 온오프라인 유통 업체 지난해 매출액>
| 쿠팡 | 신세계 | 롯데쇼핑 | 네이버 | 카카오 | |
| 매출액 | 41조원 | 35조원 | 14조원 | 10조원 | 7조원 |
[출처: 기업공시시스템]
사실상 국내시장을 평정한 쿠팡은 대만으로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쿠팡은 지금까지 대만 현지 로켓배송 물류시스템 구축 등에 500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국내와 마찬가지로 로켓배송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쿠팡이 해외 진출을 본격화한 가운데 국내 기업과 중국 기업이 손을 잡고 쿠팡 견제에 나섰다. 올해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 진출을 예고한 알리익스프레스(알리)는 1세대 e커머스 업체 G마켓과 손을 잡았다. 중국 e커머스 업체 테무 역시 최근 한국인 판매자를 모집하고 있고, 네이버도 다음 달 전용 쇼핑 앱을 출시할 예정이다.
e커머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쿠팡이 압도적 1위인 것을 부정하기는 어렵다”며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해 시장 점유율 확보에 나설 예정이다”고 포부를 밝혔다.
![전자상거래 [사진=픽사베이]](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2/368962_386518_352.jpg)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는 가운데 쿠팡에도 한 가지 변수가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와 거액의 과징금(1500억원 이상)을 두고 쿠팡은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어 그 결론에도 이목이 쏠렸다.
-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 격...요기요, 사상 첫 희망퇴직 신청
- 차근차근 배달 시장 점유율 높여가는 쿠팡이츠...결정적 비결은
- 내년부터 EPL 중계권 쿠팡에 넘겨주는 스포티비, 매출 상승세 영향은
- 화이트하임 1/6 가격에 잘못 올린 쿠팡, 가격기재 오류에도 쿨하게 전량 배송
- 배달 수수료 인상이 불러온 배달업계 갈등...배달 플랫폼 “제각각 절충안 제시” 자영업자 “수수료 인하”
- 쿠팡플레이 SNL, 한강 작가 패러디 여론 뭇매...도 넘는 희화화는 풍자가 아니다는 비판 일어
- "쿠팡, 납품업체 제품 베껴 PB 제품 둔갑"...공정위 판단에 쿠팡 “전혀 사실 아냐” 반박
- 희망퇴직까지 갔던 1세대 온라인 쇼핑몰 지마켓, 쓱데이 맞아 매출 증가
- 쿠팡·C커머스 공세에 SSG닷컴·G마켓 뭉쳤다...전망은 엇갈려
- 지마켓·알리, 타도 쿠팡 외치며 손 잡았다...2025년 합작법인 설립 예고
- 쿠팡 타도 외치며 지마켓과 손잡았는데...돌변한 알리익스프레스
- 무신사 새벽 쿠폰 소동...200만원 주려다 1000억원 날릴 뻔했다
- 쿠팡, 공정위와 또 잡음...설연휴 앞두고 납품 대금 지연 제재
- 주7일제 너무 서둘렀나...CJ대한통운, 주말 출근 거부한 택배기사 해고 이슈로 시끌
- 백화점에서 화장품 구매는 옛말...올리브영·다이소·쿠팡·CU로 몰린다
- 최대 8% 싼 쿠팡 갤럭시 S25 사전 예약에 소비자 몰려...강제 취소에 일부는 불만 토로
- 오리털 이어 짝퉁 영양제 논란...유통 플랫폼 관리 부실에 소비자 "빨리 대책 마련해라"
- 알리바바이어 BYD까지...中 기업과 잇따라 협업하는 신세계, 비판받는 이유는
- 핸드폰·신발·공기청정기 쓰다가 반품...쿠팡 정책 악용한 빌런에 소비자 공분
- CJ대한통운 등에 업은 커머스 업체, 이제 주 7일 배송 필수...쿠팡과 본격 경쟁
- 가짜 거위털에 칼 빼든 무신사, 전수 조사결과 나왔다...8.5%나 위반해 충격
- 24명 목숨 앗아간 산불 참사, 삼성·현대차가 손 내밀었다
- 빙그레·롯데웰푸드·해태제과, 아이스크림 가격 담합 천문학적 과징금 1350억원 낼까
- 샤오미, 해외에선 인기인데 국내에선 유통망 확보도 어렵다?...“지속적 협력 모색 중”
- 무신사, IPO 초석 다지기?...중고 거래 시장도 본격적으로 뛰어들 준비
- 당일 배송, 커머스 업계 트렌드 됐다...쿠팡·CJ올리브영·다이소 모두 승승장구
- 쿠팡 질주에 배민·티빙, 네이버·넷플릭스 손잡았다...시너지 기대 한편에선 우려도
- 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병 소식 나오자마자 쿠팡플레이 무료...영화 상영 주도권 잡은 OTT, 변화 빠르다
- 동일 아이디 4회 연속 당첨 의혹...11번가, 경품 조작 논란에 “사실 아냐”
- 선수는 일류, 팬 대응은 삼류...e스포츠 명문구단 T1의 민낯, 팬들이 물주인가
- 쿠팡플레이, 칸예 웨스트 공연 취소 비하인드 찌라시 확산...덩달아 주목받는 이재명...왜?
- SKT부터 아디다스·디올·테무·알바몬까지...똑같이 개인정보 털렸는데 대응은 제각각
- "주 7일제로 택배 빨라져 좋긴 한데"...배송기사 불만에 택배비 상승 우려 부작용도
- 화이트하임은 되고 육개장은 안 된다?...또 터진 가격 오류에 쿠팡 조치 바뀐 이유
- 절대 1강 쿠팡에 알리·테무도 힘든데 징동까지...국내 이커머스 업계, 상황 예의주시
- SK 최태원은 고소 취하, 신세계 정용진은?...악성 루머 유포 네티즌 고소 선언...실제 처벌로 이어질까
- 쿠팡플레이로 스포츠 보려면 얼마?...스포츠 패스 도입 예고에 시청자들 볼멘소리도
- 네이버·라인은 난리더니 텐센트·넥슨은 조용...소비자 “중국은 되고 일본은 안 되냐”
- 화이트하임·육개장 이어 코코볼까지...반복된 쿠팡 가격 오류, 이번엔 대응 다르다?
- 국민 메신저 카톡, 정작 카카오는 업무용 메신저로 ‘슬랙’ 도입한 이유
- 카카오톡 톡서랍, 용량 줄이고 가격은 올리고...“이것이 카카오의 영업방식?” 소비자들 불만
- 연매출 41조 황금성 쿠팡, 내부는 곪아 터져...노동자들 파업·불매운동 예고에 “터질 게 터졌다”
- 쿠팡에 밀린 CJ대한통운, 이래서 물갈이했나...매일오네 도입하고도 지난해보다 실적 나빠
- 요즘 학생들 인스타 쓰던데...카카오톡, 인스타·유튜브풍 개편에 이용자들 “기존 콘텐츠나 잘하자”
- 무신사에 밀린 에이블리, 시대착오적 똥볼 이벤트에 소비자들 "어이가 없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