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몬 10만원 보상, SKT는 위약금 변제 꺼려
전국민 개인정보 보호에 비상이 걸렸다. 대한민국 국민 다수가 사용하는 내로라하는 업체들의 개인정보가 해킹 당하면서 불안감이 가중되는 가운데, 회사들의 대응이 제각각인 점에 시선이 쏠렸다.
지난 4월 말부터 알려진 SKT 유심 해킹 사태는 여전히 논란이다. 지난 19일 SK텔레콤 침해사고 민관합동조사단 2차 조사에서 가입자 식별키(IMSI) 2696만 여 건이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당초 감염 서버에 저장되지 않았다던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도 해킹 서버에 29만 여 건 저장된 것으로 드러났다.
초기 예측보다 해킹 피해가 큰 것으로 확인되면서 SKT를 떠나는 이들도 늘고 있다. 지난 1일 3만8716명이나 다른 통신사로 이동해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하루 1만명 대가 이탈하면서 지난 16일까지 34만5000명가량 빠져나갔다.
불안감에 SKT를 뜨려는 가입자들은 당연히 위약금 면제를 요구하고 있다. SKT는 위약금이 남은 이용자들이 많아 면제할 경우 향후 이탈이 가속화한다는 점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SKT는 이탈자 위약금 면제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최태원 SK 회장은 지난 7일 사과하면서도 위약금 관련 질문에는 즉답을 피했다. 유영상 SKT 대표 역시 “(위약금이 면제되면) 지금의 10배 이상인 250만 명이 이탈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 달 기준으로 최대 가입자 500만 명까지 (이탈이) 가능하다. 향후 3년 치 매출과 위약금을 고려하면 7조원 이상 손실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SKT와 달리 비슷한 시기에 개인정보 해킹 피해를 끼친 알바몬의 대처는 정반대였다. 지난 1일 알바몬은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해킹 피해 사실을 밝혔다. 그러면서 피해 보상을 안내했다.
![알바몬 해킹피해 안내문 [사진=알바몬]](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5/379693_400805_4224.png)
알바몬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게 네이버 페이 10만원, 요기요 상품권 10만원(5만원권 2장), 5대 유통 통합 상품권 10만 원 중 선택권을 줬다. 소비자들은 알바몬의 개인정보 유출은 문제지만 사후 처리가 SKT와 비교된다고 입을 모았다.
어중간하게 대응해 비판을 받은 회사도 있다. 명품 브랜드 디올은 해킹 피해 100일이 지나서야 신고해 늑장 대응 비판을 받았다. 아디다스는 정확한 유출 시점을 공개하지 않았다. 중국 e커머스 업체 테무는 대놓고 개인정보를 중국에 넘겨 과징금 13억6900만원이 부과됐다.
- 크리스마스 1개월 앞두고 산타가 점령한 유명 백화점 SNS..."해킹? 마케팅?"
- 국감서 질타 받은 아디다스, 강남점 소비자 응대 둘러싸고 잡음
- 쿠팡·C커머스 공세에 SSG닷컴·G마켓 뭉쳤다...전망은 엇갈려
- 신세계백화점 산타 노이즈 마케팅 대성공...롯데백화점 팔로워 넘었다
- 커피 프랜차이즈 알바 테러글 논란..."알바 SNS까지 관리해야 하나" 프랜차이즈 점주들 한숨
- 반복된 참사 희화화...공차 점주, 알바생 공지문에 제주항공 사고 언급했다 뭇매
- 알바 이어 점주도 막말...유명 저가커피 프렌차이즈 SNS 저격글 논란
- 뉴발란스, 2027년부터 직진출 예고...푸마 전철 밟을 수 있다는 우려도
- 연매출 40조 넘긴 쿠팡, 대만 시장까지 눈독...국내 경쟁자들 행보도 주목
- 주 7일 배송에는 대가가 따른다?...CJ대한통운, 기업 고객 택배비 조정 예고
- 써브웨이, 소비자 치아 손상 유발한 올리브 씨앗 책임 회피 의혹...신뢰 와그작
- 국민 절반이 당했다...경쟁사 털릴 때 자만한 SKT, 거듭된 사과에도 여론 싸늘
- 2500만 가입자 유심 털렸는데...SKT, 신규 가입자 유심 우선 제공 주장에 소비자 부글부글
- 국민 절반가량 피해 봤는데...19일 만에 사과한 SK 최태원 회장, "속 빈 강정" 뒷말
- KT·LG유플러스, 갤럭시 S25 엣지 사전예약 한창인데...신규가입 막힌 SKT 꼼수 논란
- 고소와 우승...일주일 사이 롤러코스터 탄 손흥민, 덩달아 놀란 갤럭시·아디다스 등 광고주들
- 절대 1강 쿠팡에 알리·테무도 힘든데 징동까지...국내 이커머스 업계, 상황 예의주시
- 尹 정부 때 오너 구속된 카카오, 정권 바뀌자 코드 맞추기?...기준 강화 본격화에 이용자 반발
- IT 강국? 옛말이네...SKT부터 삼성페이·yes24까지, 접속 오류·해킹에 소비자 부글부글
- 랜섬웨어 터진 예스24, 사흘째 해결 못 해...인터파크·알라딘은 반사이익?
- 랜섬웨어 예스24 거짓말 의혹까지..."KISA와 공방전 벌일 때인가" "예스24가 아니라 노24” 뭇매
- 네이버·라인은 난리더니 텐센트·넥슨은 조용...소비자 “중국은 되고 일본은 안 되냐”
- 티머니에 네이버페이까지...애플페이, 공격적 확장에 삼성페이 긴장하나
- 랜섬웨어 걸려 불편 초래한 예스24, 보상안 내용에 소비자 부글부글
- 해킹 사태 겪은 SKT, 대리점에 180억 지원...2500만 이용자 대책은 감감무소식
- 국민 메신저 카톡, 정작 카카오는 업무용 메신저로 ‘슬랙’ 도입한 이유
- 정부 몽둥이에 백기 든 SKT, 위약금 면제 결정...기간 두고 소비자 불만 여전
- 경쟁사 KT 공포 마케팅 방통위 신고한 SKT...소비자들 반응은
- 신세계 애물단지 전락한 쓱페이, 카카오페이 매각 물거품...그룹 입지 또 불안요소
- SKT, 위약금 면제 기간 끝나자 해킹 피해 조회 열어...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 대부분 털렸다
- SKT, 해킹에 놀란 소비자 달래려 스벅·파바 이벤트 준비...일부 이용자 불만 제기한 이유는
- 보안 강화는 공염불이었나...50일 만에 또 랜섬웨어 당한 예쓰24, 해커들 ‘맛집’ 전락
- 스타벅스 때와는 다르네...SKT 파리바게뜨 50% 행사, 소비자 마음 달래나
- “성과급 5000%도 행복 아냐” 최태원 발언에 SK하이닉스 내홍 심해지나...현대차 노조 갈등도 재조명
- 도미노피자 이통사 반값 이벤트, 서버 문제 발목...소비자들 “쿠폰 날렸네” 허탈감
- 래퍼들 디스전도 아니고...SKT 사태 마케팅 활용한 KT·LG유플러스, 본인들 해킹 의혹엔 묵묵부답
- 개인정보 유출·소액결제 피해 이어 서버 폐기 의혹까지...KT에서 무슨 일이?
- 갤럭시·아이폰 판매 경쟁할 때 아냐...상반기 SKT, 하반기는 KT, 1년 내내 개인정보 털린 국민
- 레스토랑서 벌어진 통신사 대리전...SKT·빕스 반값 행사에 KT·매드포갈릭 똑같이 응수
- 개인정보 유출 없다던 KT 대국민 사과...하루 만에 말 바꾼 뻔뻔함에 소비자들 “대기업 맞아?”
- KT 해킹 인정 기다렸나...SKT·LG유플러스 공포 마케팅에 소비자들 “그 나물에 그 밥” 실소
- 티몬은 오아시스가 인수했는데...위메프는 결국 파산...무엇이 둘의 운명을 갈랐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