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김영섭 KT 대표이사 대국민 사과
해킹 피해 의혹을 완강하게 부인했던 KT가 결국 사실을 인정하고 고개를 숙였다. 사고를 숨긴 것도 모자라 거짓말로 소비자를 기만한 데 대해 소비자들은 크게 분노했다.
지난주부터 일부 KT 이용자들은 자기도 모르게 소액결제가 이뤄져 금전적 피해를 입었다고 신고했다. 당시 KT가 해킹됐다는 의혹이 퍼지던 시기라 사태가 주목을 받았다.
특정 지역에서 KT 통신망을 사용하던 이용자들이 피해를 본 터라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한 해킹이 의심됐다. 사태가 커지자 KT는 지난 8일 뒤늦게 소액결제 건과 관련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했다. 그러면서도 “개인정보 유출 정황은 없다”고 호언장담했다.
10일 확인된 피해만 278건, 피해 금액은 1억7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KT 자체 집계 결과가 나왔다. KT는 일단 무단 소액결제로 인한 모든 피해액을 이용자에 청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다만 이미 소비자 신뢰를 잃은 듯해 보인다. 소비자들은 “당연한 걸 생색 내냐”, “SKT가 선녀였다”, “위약금 면제해라” 등 격앙된 반응을 쏟아냈다. 일각에서는 KT가 피해 사실을 인지하고 KISA에 신고하기 전 보상 약관을 고쳤다는 주장도 나왔다. 은폐 의혹이 있는 만큼 더 괘씸하다는 의견이 많다.
정부도 이번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 KT뿐만 아니라 SKT와 LG유플러스 모두 전수조사에 나섰다. 다행히도 SKT와 LG유플러스에서는 동일한 피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와 시민들 압박과 계속된 의혹에 사면초가에 놓인 KT는 11일 대국민 사과에 나섰다. 김영섭 KT 대표이사는 “소액결제 피해 고객에 머리 숙여 죄송하다”며 “원인 파악 중이다”고 설명했다.
![KT 김영섭 대표이사 [사진=KT]](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4535_421526_5425.jpg)
KT는 자체 조사 결과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한 일부 이용자의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유출 정황을 확인하고, 이를 11일 오후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신호 수신 이력이 있는 이용자 중 IMSI 유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이는 총 5561명이다. KT는 이날 오후 해당 이용자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한 사실과 피해 사실 여부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 USIM 교체 신청 및 보호서비스 가입 링크를 문자 메시지로 안내했다.
아울러 KT는 유령 기지국 신호 수신 이력이 있는 가입자 1만9000명 전원에 무료 유심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KT는 개인정보 유출은 절대 없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180도 말을 바꿨다. 대기업의 무책임한 행태에 소비자 분노가 들끓는 가운데, 지난 SKT 해킹 당시 이용자가 급감했듯 KT에서도 대규모 엑소더스가 예상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 SKT부터 아디다스·디올·테무·알바몬까지...똑같이 개인정보 털렸는데 대응은 제각각
- IT 강국? 옛말이네...SKT부터 삼성페이·yes24까지, 접속 오류·해킹에 소비자 부글부글
- 해킹 사태 겪은 SKT, 대리점에 180억 지원...2500만 이용자 대책은 감감무소식
- 정부 몽둥이에 백기 든 SKT, 위약금 면제 결정...기간 두고 소비자 불만 여전
- 경쟁사 KT 공포 마케팅 방통위 신고한 SKT...소비자들 반응은
- 모기업은 SKT, 스폰서는 삼성·벤츠·레드불에 사우디 자본까지...‘페이커’ 경제효과 어디까지
- SKT, 위약금 면제 기간 끝나자 해킹 피해 조회 열어...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 대부분 털렸다
- SKT, 해킹에 놀란 소비자 달래려 스벅·파바 이벤트 준비...일부 이용자 불만 제기한 이유는
- 소년공 출신 대통령 질타에 산재 발생한 SPC·포스코이앤씨 개선 약속...근로자 사망한 KT는?
- 스타벅스 때와는 다르네...SKT 파리바게뜨 50% 행사, 소비자 마음 달래나
- 도미노피자 이통사 반값 이벤트, 서버 문제 발목...소비자들 “쿠폰 날렸네” 허탈감
- 래퍼들 디스전도 아니고...SKT 사태 마케팅 활용한 KT·LG유플러스, 본인들 해킹 의혹엔 묵묵부답
- 개인정보 유출·소액결제 피해 이어 서버 폐기 의혹까지...KT에서 무슨 일이?
- 갤럭시·아이폰 판매 경쟁할 때 아냐...상반기 SKT, 하반기는 KT, 1년 내내 개인정보 털린 국민
- 레스토랑서 벌어진 통신사 대리전...SKT·빕스 반값 행사에 KT·매드포갈릭 똑같이 응수
- KT 해킹 인정 기다렸나...SKT·LG유플러스 공포 마케팅에 소비자들 “그 나물에 그 밥” 실소
- KISA, ‘2025년 하반기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 참여기업 모집
- 대기업에 이어 정부·지자체 빅데이터 협력사 '텍스톰'까지 해킹, 핵심 개인정보 유출 사고 발생…공공부문 '디지털 신뢰' 총체적 위기
- 영국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 ‘재규어랜드로버’ 해킹 피해 여파 이어져, “생산 공장 셧다운 연장” 추가 발표...직원들 대기령, 공장 가동 재개 시점 여전히 '미지수’
- SKT·KT·롯데카드 잇단 해킹에 소비자 피해 심각..."기업 고위급 보안 개념 없는 세대" 지적도
- 해킹·랜섬웨어 감추기 급급한 KT·예스24, 국가 기관마저 속여...“괘씸하다” 비판 속출
- 한국인터넷진흥원 - 제주자치경찰위원회 - ㈜한국레이더시스템, 스마트 치안 드론의 인공지능(AI) 성능 향상 위해 상호 협력
- 수입콩 3배 비싼 국산콩 장려에 업계 불만...주요 제품 가격 인상 이어지나
- LG유플러스 "의혹 해소 위해 KISA에 신고할것"
- 이태원 참사 3주년, 사라져 버린 핼러윈 대목...유통업계 올해도 조용히
- 통신 3사 이어 이커머스 1위 쿠팡까지 털렸다..."이러다 전국민 주민번호 바꿔야겠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