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관련 KISA에 신고”
지난 4월 2600만명에 달하는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본 SKT에 이어 1400만명 넘게 가입한 KT도 해킹 피해 신고가 급증했다. 정작 KT는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아 향후 상황에 시선이 모였다.
소동의 발단은 이렇다. 미국 보안전문지 프랙은 지난달 말 기사에서 북한 또는 중국 배후로 추정되는 해킹 조직이 한국 정부 기관과 통신사 등 민간 기업을 공격했다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에 KT가 해킹당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 국내에 확산됐다. KT는 부인했으나, 정치권에서 반대되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었다. 심지어 조사를 앞두고 KT가 서버를 폐기했다는 주장까지 나오면서 소비자 불안이 커졌다.
![KT 로고 [사진=KT]](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4114_420948_3759.jpg)
더욱이 지난 주말 사이 일부 지역에서 KT 이용자들이 자신도 모르게 모바일 상품권 구매 등 소액결제 피해를 봤다고 연이어 신고했다. 경기도 광명시와 부천시, 서울특별시 금천구와 영등포구 등지에서 피해 사례가 계속됐다.
심지어 한 유튜버는 휴대폰 본인인증 서비스까지 뚫려 가상화페 거래 사이트 빗썸 계좌까지 해킹당했다고 주장했다. 다른 이는 앱스토어 소액결제가 여러 건 발생했다고 하소연했다.
논란이 시작된 지난 주말만 하더라도 KT는 소액결제 금액 축소 등 원인을 찾기보다는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했다. 주말 새 피해 사례가 계속 늘자 지난 8일 오후 결국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해당 내용을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KT 소액결제 관련 사과문 [사진=KT]](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4114_420946_357.png)
KT 측은 “지난 5일 새벽부터 비정상적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했으며, 이후 현재까지 추가적인 발생이 확인되고 있지 않다”며 “지금까지 신고 건들은 차단 조치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KT는 개인정보 해킹 정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더해 KT는 “고객 피해 발생 등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며 “경찰 수사와 정부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조속히 원인이 규명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담당 정부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 역시 SKT 해킹 사태처럼 KISA와 협력해 민간합동조사단을 꾸려 조사에 나섰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느 부분이 해킹당했는지 조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돼 소비자 불편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 24명 목숨 앗아간 산불 참사, 삼성·현대차가 손 내밀었다
- 합병 지지부진한데...웨이브, 호불호 갈리는 콘텐츠로 위기 돌파 가능할까
- 국민 절반이 당했다...경쟁사 털릴 때 자만한 SKT, 거듭된 사과에도 여론 싸늘
- 2500만 가입자 유심 털렸는데...SKT, 신규 가입자 유심 우선 제공 주장에 소비자 부글부글
- 국민 절반가량 피해 봤는데...19일 만에 사과한 SK 최태원 회장, "속 빈 강정" 뒷말
- KT·LG유플러스, 갤럭시 S25 엣지 사전예약 한창인데...신규가입 막힌 SKT 꼼수 논란
- SKT부터 아디다스·디올·테무·알바몬까지...똑같이 개인정보 털렸는데 대응은 제각각
- IT 강국? 옛말이네...SKT부터 삼성페이·yes24까지, 접속 오류·해킹에 소비자 부글부글
- 해킹 사태 겪은 SKT, 대리점에 180억 지원...2500만 이용자 대책은 감감무소식
- 정부 몽둥이에 백기 든 SKT, 위약금 면제 결정...기간 두고 소비자 불만 여전
- 경쟁사 KT 공포 마케팅 방통위 신고한 SKT...소비자들 반응은
- 모기업은 SKT, 스폰서는 삼성·벤츠·레드불에 사우디 자본까지...‘페이커’ 경제효과 어디까지
- SKT, 위약금 면제 기간 끝나자 해킹 피해 조회 열어...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 대부분 털렸다
- SKT, 해킹에 놀란 소비자 달래려 스벅·파바 이벤트 준비...일부 이용자 불만 제기한 이유는
- 소년공 출신 대통령 질타에 산재 발생한 SPC·포스코이앤씨 개선 약속...근로자 사망한 KT는?
- 스타벅스 때와는 다르네...SKT 파리바게뜨 50% 행사, 소비자 마음 달래나
- 래퍼들 디스전도 아니고...SKT 사태 마케팅 활용한 KT·LG유플러스, 본인들 해킹 의혹엔 묵묵부답
- 갤럭시·아이폰 판매 경쟁할 때 아냐...상반기 SKT, 하반기는 KT, 1년 내내 개인정보 털린 국민
- 레스토랑서 벌어진 통신사 대리전...SKT·빕스 반값 행사에 KT·매드포갈릭 똑같이 응수
- 조국 대표 테마주, 코스피 상장사 '화천기계' 해킹, SGI서울보증 공격했던 랜섬웨어 조직 건라 소행…265GB 데이터 탈취, 삼화콘덴서 등 코스피 상장사 연달아 보안 비상…
- 개인정보 유출 없다던 KT 대국민 사과...하루 만에 말 바꾼 뻔뻔함에 소비자들 “대기업 맞아?”
- KT 해킹 인정 기다렸나...SKT·LG유플러스 공포 마케팅에 소비자들 “그 나물에 그 밥” 실소
- SKT·KT·롯데카드 잇단 해킹에 소비자 피해 심각..."기업 고위급 보안 개념 없는 세대" 지적도
- 해킹·랜섬웨어 감추기 급급한 KT·예스24, 국가 기관마저 속여...“괘씸하다” 비판 속출
- 수입콩 3배 비싼 국산콩 장려에 업계 불만...주요 제품 가격 인상 이어지나
- LG유플러스 "의혹 해소 위해 KISA에 신고할것"
- 통신 3사 이어 이커머스 1위 쿠팡까지 털렸다..."이러다 전국민 주민번호 바꿔야겠네"
- “목 베겠다” “짱구도 보지마”...첨예한 중일 갈등, 우리나라 기회일까 위기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