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실상 한일령 내려
최근 중국과 일본이 엄청난 외교 갈등을 빚으면서 경제, 문화 분야에서도 서로를 저격하느라 바쁘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을지 업계 시선이 집중됐다.
현재 중국과 일본의 관계는 1972년 수교 이래 최악의 상황이다. 영토, 경제, 문화 모든 분야에서 서로에 대한 반감이 극에 달했다.
양국 사이가 처음부터 이랬던 것은 아니다. 불과 지난달 말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막 선출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만날 때만 해도 분위기가 좋았다.
그러나 지난 7일 다카이치 총리가 국회에서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며 상황이 변했다. 예민한 문제를 건드리자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주 오사카 중국 총영사 쉐젠은 다카이치 총리를 겨냥해 “들이민 목을 벨 수밖에 없다”는 글을 SNS에 올렸다. 이에 양국 외교 관계는 파탄 지경 직전까지 갔다.
중국은 이에 더해 일본 여행·유학 자제 권고령을 내렸다. 일본 영화 상영을 연기하며 사실상 한일령(限日令)을 발령했다. 과거 사드 배치 논란으로 인해 한국에 한한령을 내린 것과 비슷한 조치다.
![중국에서 내달 6일 개봉 예정이던 짱구 극장판 [사진=바이두]](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11/403695_434768_5748.png)
이에 그치지 않고 지난달 APEC에서 합의한 일본산 수산물 수입 조치 역시 보름 만에 금지했다. 최근에는 희토류 수출 규제 강화 검토도 들어갔다.
사태 악화를 막고자 중국을 방문한 일본 외무성 국장을 중국 외교부 국장이 주머니에 손을 찔러넣고 내려다 보는 사진과 영상이 중국 국영방송 CCTV가 의도적으로 보도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타국의 우려도 커졌다.
![류진쑹 중국 외교부 국장(우), 가나이 마사아키 일본 외무성 국장(좌) [사진=중국 위위안탄톈(玉渊谭天) 캡처]](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11/403695_434767_5245.jpg)
특히 지리적으로 중간에 낀 우리나라가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감지되고 있다. 중일 관계가 악화하면서 양국 여행을 계획하던 여행객들이 자연스럽게 한국으로 목적지를 바꿀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게다가 중국의 경우 최근 무비자 입국이 시행되면서 한국을 찾는 관광객들이 느는 추세인데 일본 여행 상품이 취소되면서 한국을 찾는 여행객이 더 많아질 수 있다. 중국인 여행객이 늘면 면세점 등 우리 유통가의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간에 끼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중국과 일본 모두 한국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외교전을 시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은 최근 갑자기 “독도는 한국 땅”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히면서 한국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에 한국과 일본의 논란거리를 일부러 부추겨 이간질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 LG생활건강, 화장품 이어 코카콜라 부진에 결국 결단...음료 사업부 매각
- 개인정보 유출·소액결제 피해 이어 서버 폐기 의혹까지...KT에서 무슨 일이?
- 신라호텔, 정부 요청에 불과 50일 전 식장 예약 취소 통보..."시진핑 머무나"
- 죽·된장·낙지 다음은 하이볼...백종원 거듭된 원산지 표시 위반에 소비자들 “다음은 또 뭘까”
- 고사 직전 면세점 업계, 중국인 무비자 입국 황금동아줄 잡나...유치 안간힘
- 방한 앞둔 시진핑 신라호텔 '노쇼'에 호텔·이용자 대략 난감...‘호텔경제학’ 실사판 비판도
- 면세점 업계, 중국인 무비자에 모처럼 화색인데...캄보디아 납치 등 반중정서 확산에 고심
- 日 쓰리피에 中 요요소까지...글로벌 저가 잡화 잇단 한국 진출에 다이소는 자신감
- 트럼프에 시진핑까지 오는 경주 APEC, 협찬사 현대차·삼성·한화·농심·파리바게뜨 효과는
- "카리나 다음은 닝닝?" 에스파 논란에 日 팬들 불매 언급...아모레·무신사 등 애꿎은 업체들 화들짝
- 中 Z세대, 맥도날드서 숙식 해결하는 ‘특수부대식 여행’ 인기...한국 맥도날드 대응은
- 결국 국감 패싱한 백종원, '흑백요리사2' '남극의 셰프' 공개 가능한가..."중단 결단 내려야" 주장도
- 경주 APEC 스폰서도 아닌데 젠슨 황 효과 톡톡...경쟁사보다 빛 본 깐부치킨
- 미국은 줄이고 중국은 매각하는데...스타벅스, 한국서는 잘 나가네
- 이탈리아 명품 이미지 어디로...페레로 로쉐 중국 생산에 “페레로 셰셰 아니냐" 볼멘소리
- 알리·테무 등 C커머스, 광군제 맞아 한국 공습 중인데...정작 정치권은 ‘쿠팡 드잡이’ 주력
- 토마토 이어 양상추까지...기후문제로 매년 반복되는 수급 불안, 써브웨이·롯데리아 "곤란해"
- 민주당, 대미투자특별법 '이번 주' 국회 제출…”전문 운용주체가 관리”, 투자협의회 구성이 코스피에 미칠 영향은?
- “잉크가 녹아내려요”...써브웨이, 랍스터 샌드위치 한정판 접시에 무슨 일이
- 중일 갈등에 中 관광객 日 발길 뚝…반사이익 노리는 대한항공·LCC, 한한령 우려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