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서버 폐기→뒤늦게 폐기
최근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연이어 해킹 공격이 가해지면서 소비자들이 불안에 떠는 가운데 일부 기업은 피해 사실을 은폐한 정황이 드러나 분노를 자아냈다.
지난 4월 SKT 해킹 사태에 이어 6월 예스24(YES24) 랜섬웨어, 최근 KT마저 해킹당한 사실이 알려졌다. SKT 2600만 명, 예스24 2000만 명, KT 1000만 명까지 단순히 합치면 대한민국 국민 5168만명보다 많은 개인정보가 털린 셈이다.
공교롭게도 이들은 해킹 의혹을 받자 초기에 강하게 부인했다. 그러나 점차 해킹 정황이 명확해지고, 부수적인 피해가 확인되자 뒤늦게 시인해 더 비판을 받았다.
예스24와 KT는 심지어 정부 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을 속이려 한 의혹까지 드러났다. 예스24는 지난 6월 랜섬웨어 공격 당시 “시스템 점검” 또는 “유지보수”로 안내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 문제를 제기하자 36시간 만에 입장을 바꿨다.
![예스24 공지사항 [사진=예스24]](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6057_423642_3931.png)
예스24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한 장애”라고 뒤늦게 시인했다. 그러면서 “KISA와 협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KISA는 이튿날 이례적으로 입장문까지 내고 “예스24는 신고만 했지, 조사에 협조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예스24가 사건을 축소하려 했다는 의혹이 퍼졌다.
최근 하루걸러 한 번꼴로 새로운 의혹이 제기되는 KT는 KISA를 속이려 했다는 주장까지 나와 충격을 줬다. 지난 7월 해킹 제보를 받은 KISA가 8월 12일 KT에 자료 제출을 요구했으나 KT는 서버를 폐기했다는 이유로 응하지 않았다.
실상은 달랐다. KT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8월 1일에 2대, 6일에 4대, 13일 2대를 폐기한 것으로 나와 있다. KISA 요구가 들어온 12일에는 서버 2대를 폐기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었다.
![서버실 [사진=픽사베이]](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6057_423643_4028.jpg)
KT는 최근 문제가 된 소액 결제 사건과 무관한 서버라고 해명했으나, 이미 여러 차례 말을 바꾼 KT의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편 KT는 9월 초 소액결제 피해 건과 관련해 KISA에 신고했다. 그러면서도 “개인정보 유출 정황은 없다”고 장담했으나 11일 “개인정보 유출 정황을 확인했다”고 뒤늦게 대국민 사과에 나섰다. 불과 3일 만에 호떡 뒤집듯 말을 바꾼 KT에 소비자들의 실망을 넘어 분노를 표시했다.
- 랜섬웨어 터진 예스24, 사흘째 해결 못 해...인터파크·알라딘은 반사이익?
- 랜섬웨어 예스24 거짓말 의혹까지..."KISA와 공방전 벌일 때인가" "예스24가 아니라 노24” 뭇매
- 랜섬웨어 걸려 불편 초래한 예스24, 보상안 내용에 소비자 부글부글
- 해킹 사태 겪은 SKT, 대리점에 180억 지원...2500만 이용자 대책은 감감무소식
- 정부 몽둥이에 백기 든 SKT, 위약금 면제 결정...기간 두고 소비자 불만 여전
- 경쟁사 KT 공포 마케팅 방통위 신고한 SKT...소비자들 반응은
- 홈페이지 오류에 점검 실패까지 잇단 이변...넥슨 마비노기에 무슨 일이?
- SKT, 위약금 면제 기간 끝나자 해킹 피해 조회 열어...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 대부분 털렸다
- SKT, 해킹에 놀란 소비자 달래려 스벅·파바 이벤트 준비...일부 이용자 불만 제기한 이유는
- 보안 강화는 공염불이었나...50일 만에 또 랜섬웨어 당한 예쓰24, 해커들 ‘맛집’ 전락
- 스타벅스 때와는 다르네...SKT 파리바게뜨 50% 행사, 소비자 마음 달래나
- 도미노피자 이통사 반값 이벤트, 서버 문제 발목...소비자들 “쿠폰 날렸네” 허탈감
- 래퍼들 디스전도 아니고...SKT 사태 마케팅 활용한 KT·LG유플러스, 본인들 해킹 의혹엔 묵묵부답
- 개인정보 유출·소액결제 피해 이어 서버 폐기 의혹까지...KT에서 무슨 일이?
- 갤럭시·아이폰 판매 경쟁할 때 아냐...상반기 SKT, 하반기는 KT, 1년 내내 개인정보 털린 국민
- 레스토랑서 벌어진 통신사 대리전...SKT·빕스 반값 행사에 KT·매드포갈릭 똑같이 응수
- 개인정보 유출 없다던 KT 대국민 사과...하루 만에 말 바꾼 뻔뻔함에 소비자들 “대기업 맞아?”
- KT 해킹 인정 기다렸나...SKT·LG유플러스 공포 마케팅에 소비자들 “그 나물에 그 밥” 실소
- SKT·KT·롯데카드 잇단 해킹에 소비자 피해 심각..."기업 고위급 보안 개념 없는 세대" 지적도
- 지난해 유동성 루머에 롯데카드 해킹까지...롯데그룹, "롯데카드 무관” 이례적 입장 낸 이유
- 대통령실 “9월 말 정보보호 종합 대책”… KT ‘서버 로그 백업’ 확인 정황으로 현장 수사 탄력, 실효성 시험대 오른 보안 규제 개편
- 한국인터넷진흥원 - 제주자치경찰위원회 - ㈜한국레이더시스템, 스마트 치안 드론의 인공지능(AI) 성능 향상 위해 상호 협력
- 정부·지자체 재정부담 덜고 내수 살린다… ‘지역사랑상품권 기금화’ 국회서 논의
- 자동차 생산라인 멈춘 재규어·랜드로버 악몽, 이번엔 지프·마세라티까지... 글로벌 車업계 '사이버 공격' 비상
- 한국인터넷진흥원-IBK기업은행, 사이버위협 대응 및 정보 공유 체계 강화 '맞손'
- 조인철 의원, “사이버 침해사고 신속한 대응 위해 특별사법경찰 도입 등 특단 대책 필요“
- '인공지능(AI) 보안 선도 위한 해킹방어 대회'... "세계 최초 한국에서 열린다"
- 추석 연휴기간 '스미싱' 조심, ‘명절 선물 지원금·소비쿠폰’ 미끼로 기승….카카오톡 통한 공격 39.6%...정부 주도 피싱 차단 의무화 실행한 정부, 스미싱과의 전쟁
- 롯데카드, “주민번호와 CI가 한 서버에?” 새로 밝혀진 사실...이해민 의원 “분리보관 법 만들고도 2027년까지 유예한 탓” 지적
- "삼성, 6000억 원 배상하라” 美법원, 무선 네트워크 특허침해 평결…10만 전자 눈앞에 두고 무역 갈등과 함께 타격 입을까
- 수입콩 3배 비싼 국산콩 장려에 업계 불만...주요 제품 가격 인상 이어지나
- LG유플러스 "의혹 해소 위해 KISA에 신고할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