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9년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에 롯데카드 매각
최근 통신사와 카드사 등 산업계 해킹 피해가 주목받는 가운데, 롯데가 그룹 차원에서 롯데카드 해킹 이슈에 공식 입장을 내 시선이 모였다.
지난 4월 SKT에 이어 최근 KT, 롯데카드까지 해킹을 당하면서 소비자들 근심이 크다. 특히 대다수 시민이 사용하는 신용카드마저 보안이 털리면서 금전적 피해까지 예상된다. 이에 업계가 보안 강화 등 조치에 나섰으나 여전히 소비자들은 불안하다.
불똥은 유관업계까지 튀었다. 롯데카드 해킹으로 롯데 계열사들도 피해를 보고 있다. 수많은 계열사까지 브랜드의 신뢰도 하락과 매출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억울하게 불똥이 튄 롯데그룹은 공식 입장을 내기에 이르렀다. 그룹은 “롯데카드는 롯데그룹에 속한 계열사가 아니다”며 “롯데카드를 롯데 계열사로 오인하면서 브랜드 가치 훼손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이례적으로 입장을 밝혔다.
![롯데그룹 [사진=롯데]](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5924_423437_197.png)
실제 롯데카드는 2019년 MBK파트너스에 매각되면서 그룹에서 빠졌다. 다만 명칭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양자가 합의했다. MBK파트너스는 롯데라는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활용하기 위해 기존 브랜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계약 조건으로 내건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카드 역시 최근 해킹 사태에 대해 롯데그룹에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는 “롯데그룹과 임직원들에 심려를 끼쳐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소중한 고객들에 불편과 염려를 끼쳐 송구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롯데그룹도 이번 해킹사태에 큰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 임직원 전용 카드 발급 업무를 롯데카드가 맡고 있어 이번 해킹사태로 임직원 개인정보 일부가 유출된 정황까지 확인됐다.
이번 이슈로 지난해 말 유동성 위기 루머까지 언급되는 상황이다. 지난해 말 증권가 찌라시 형식으로 “롯데홀딩스, 지주 및 롯데케미칼, 호텔롯데의 차입금이 29조9000억원으로 그룹 전체 유동성 위기가 촉발했다”는 소문이 퍼졌다.
![지난해 말 증권가에 퍼진 찌라시 [사진=온라인커뮤니티]](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5924_423438_1929.png)
그룹 및 계열사 주가가 폭락하는 등 상황이 안 좋아지자 롯데그룹은 “유동성 위기는 사실무근이며, 유포자에게 법적 조치를 검토 중이다”고 진화에 나선 바 있다.
- 신세계·현대·롯데 백화점 3사 1분기 모두 울었다...반등 가능할까
- 롯데리아 신상 햄버거 화제몰이는 성공했는데...가격 비싸고 맛은 호불호 갈려
- 학폭 의혹 부인한 배우 고민시, 미성년자 음주 재조명...스타마케팅 광고주 예의주시
- 야구팬들 불매운동 영향 컸나...크보빵 흥행에 웃던 SPC삼립, 결국 생산 중단
- 여초카페 추앙받던 카리나, 사진 한 장에 상황 돌변...광고모델 제품 불매 예고까지
- SPC 사태에 롯데리아·버거킹·맘스터치 직격탄 맞았는데...맥도날드만 피한 이유
- 이른 무더위에 벌써 탄산음료 찾네...롯데칠성·코카콜라 올해도 OO탄산 전쟁
- 이마트부터 롯데칠성음료까지...유통업계가 가상 모델에 주목하는 이유
- MBK마저 포기한 홈플러스 역사 속으로 사라지나...마땅한 인수권자 찾기 어려워
- 무섭게 뛰는 계란값, 롯데마트·홈플러스 8000원 저지 총력...이마트는 물량확보 주력
- 쉑쉑·파이브가이즈, 맥도날드·버거킹·롯데리아 등 국내시장 선점한 터줏대감 맞서 공격적 확장
- 프랜차이즈는 3만원 육박하는데 마트는 5000원...치킨 소비행태까지 바뀔까
- 오리온·이마트24 이어 롯데웰푸드...韓 기업 홀린 14억 인도 시장 매력은
- 재작년 아스파탐 논란에 강 건너 불구경한 코카콜라, 내로남불 비판 이유는
- 뉴진스 광고효과, 지난해만 해도 꿀이었는데...신한·코카콜라·아이폰 등 광고 업계, 빠르게 손절
- “새 주인 찾아요”...인기 프랜차이즈 버거킹·KFC·노랑통닭·피자헛, 어쩌다 이 지경까지
- 한때 매각설 돌던 롯데하이마트, 실적 반등...위기의 롯데 유통 라인 구할까
- 시세 수십억 둔촌동 신축아파트 가로 균열 충격 일파만파...소비자 “현대가 지은 아파트 무서워”
- 카리나 이어 장원영도 불매운동?...시축 한 번에 우리은행·동화약품 등 광고주도 관심집중
- 정부가 푼 영화 할인권에 투썸·엔제리너스 등 유통업체도 화색...왜?
- 햄버거 본고장 미국에 1호점 낸 롯데리아의 패기...오픈 전부터 문전성시, K버거 통할까
- 원효대사 해골물도 아니고...‘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관객들, 메가박스에 단단히 뿔났다
- 고급 생수 대명사, 불법 정수 의혹에 애꿎은 국내 유통사만 식겁
- 주목받는 롯데리아 미국 1호점 “양 적고 비싸” 일부 혹평에 “론칭 초기라 지켜봐야” 주장도
- 롯데웰푸드 스테디셀러 칸쵸, 40년 만에 제2의 전성기...이름 마케팅 대박
- SKT·KT·롯데카드 잇단 해킹에 소비자 피해 심각..."기업 고위급 보안 개념 없는 세대" 지적도
- 신용보증기금-전남대학교, AI 융합 창업지원 활성화 및 금융인재 양성 '업무협약' 체결
- 해킹·랜섬웨어 감추기 급급한 KT·예스24, 국가 기관마저 속여...“괘씸하다” 비판 속출
- 자동차 생산라인 멈춘 재규어·랜드로버 악몽, 이번엔 지프·마세라티까지... 글로벌 車업계 '사이버 공격' 비상
- 방한 앞둔 시진핑 신라호텔 '노쇼'에 호텔·이용자 대략 난감...‘호텔경제학’ 실사판 비판도
- LG유플러스 "의혹 해소 위해 KISA에 신고할것"
- “다양한 가능성 검토 중”...KFC도 투썸플레이스 품으로? 일각서 사모펀드 경계론도
- 젠슨 황이 치킨에 소맥까지 먹고 갔는데...개미들 쓰러뜨린 ‘AI 버블론’ 충격파
- 통신 3사 이어 이커머스 1위 쿠팡까지 털렸다..."이러다 전국민 주민번호 바꿔야겠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