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액·기간 두고 불만 속출
최근 랜섬웨어에 걸려 열흘간 소비자 불편을 초래한 예스24가 서비스 정상화를 알렸다. 그러면서 보상안을 공개했는데, 이를 두고 소비자들은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예스24는 지난 9일부터 갑자기 홈페이지 접속 장애를 겪었다. 소비자들은 예스24가 시스템 장애라고 전달해 머잖아 정상화될 것으로 생각했다.
![사건 초기 예스24 홈페이지 [사진=예스24]](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6/383334_405808_2242.png)
다만 사태는 생각보다 심각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의원(국민의힘)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예스24는 지난 8일 오후 KISA에 해킹 피해 사실을 이미 신고해 비난이 속출했다.
결국 예스24는 9일 새벽 공격 이후 약 36시간 동안 랜섬웨어 사실을 숨기다가, 10일에야 인정했다. 이에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예스24을 통한 티켓팅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가수들은 공연을 취소하고, 소비자들은 티켓 확인이 어려워 뮤지컬 공연 입장을 못했다.
소비자와 업계가 불편을 호소한 와중에 예스24는 KISA와 진실 공방을 다투고 있었다. 예스24는 그동안 KISA와 협력하고 있다고 누차 주장했으나 KISA가 반박 입장문을 내놨다. KISA는 “예스24는 신고만 했지, 조사에 협조하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13일부터 서비스 복구가 이뤄졌고 14~15일인 주말에는 대부분 정상화되기 시작했다. 사태가 일단락되자 예스24는 보상안을 내놓았다. 지난 16일, 1차 보상안을 공개했는데 이를 두고 비난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예스24가 제시한 보상은 출고가 지연된 경우 포인트 2000점, eBook 대여 상품은 이용 불가 기간(9~13일)을 고려한 5일간 연장 등이다. 소비자들이 겪은 정신적, 시간적 피해를 보상하기는 무리라는 지적이 많다.
![예스24 보상안 [사진=예스24]](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6/383334_405807_2128.png)
결국 예스24는 17일 2차 보상안을 내놨다. 예스24는 전체 회원에 ▲YES 상품권(5000원) ▲크레마클럽 무료 30일 이용권을 제시했다. 해당 상품권은 이달 19일부터 오는 7월 6일까지 시간 제한을 걸어 또 비판을 받았다.
![예스24 보상안 소비자 반응 [사진=온라인커뮤니티]](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6/383334_405811_248.jpg)
소비자들 피해가 심각했던 티켓 예매 보상안도 나왔다. 관람일 기준 6월 9일부터 11일까지 정상적인 관람이 어려웠던 회원에 티켓 금액의 120%를 예치금으로 환불하고, 예매를 취소한 경우 티켓 금액의 20%를 예치금으로 보상한다.
예스24는 “서비스 장애로 직·간접적 불편을 겪은 고객 여러분께 실질적인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태를 끝까지 책임지고 수습하겠으며, 서비스 안정성 강화를 위한 근본적인 개선 등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KISA, '사이버 침해사고 피해'... 전년 대비 약 48% 증가
- KISA, 10만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을 위한 ‘사이버보안 교육’ 추진
- 위믹스, 87억 해킹 충격 뒤 21일 생존 게임 시작
- 해킹 사고 진단, 새로운 KISA 해킹 진단 도구(윈도우·리눅스) 신규 버전 발표
- [진단_의류패션 ⑤한세실업] 순이익 감소 속 경영진 급여 인상 논란…주주들 '배당금은 그대로' 불만 폭발
- KISA, 크롬 브라우저 자동 로그인 취약점 패치 적용 권고
- [데스크 칼럼] 국민의 시선 속 SK텔레콤 유심정보 해킹 사태..그리고 유영상 대표가 이끄는 안전의 약속
- [국민의 시선] 보이스피싱은 당신의 스마트폰을 노린다
- 국민 절반이 당했다...경쟁사 털릴 때 자만한 SKT, 거듭된 사과에도 여론 싸늘
- 2500만 가입자 유심 털렸는데...SKT, 신규 가입자 유심 우선 제공 주장에 소비자 부글부글
- 국민 절반가량 피해 봤는데...19일 만에 사과한 SK 최태원 회장, "속 빈 강정" 뒷말
- SK그룹은 정보보호혁신특별위원회를 통해 어떤 보안 전략을 추진하나?
- KT·LG유플러스, 갤럭시 S25 엣지 사전예약 한창인데...신규가입 막힌 SKT 꼼수 논란
- SKT부터 아디다스·디올·테무·알바몬까지...똑같이 개인정보 털렸는데 대응은 제각각
- SKT, 사이버 침해 대응으로 FDS 고도화하며 복제폰 차단까지 강화했나?
- [IB탈탈털기] 3.3조 리파이낸싱의 이면… SK쉴더스, SKT 해킹 사태가 던진 ‘보안 불신’ 그림자 속 ‘위험한 도박’의 시작?
- IT 강국? 옛말이네...SKT부터 삼성페이·yes24까지, 접속 오류·해킹에 소비자 부글부글
- 랜섬웨어 터진 예스24, 사흘째 해결 못 해...인터파크·알라딘은 반사이익?
- 랜섬웨어 예스24 거짓말 의혹까지..."KISA와 공방전 벌일 때인가" "예스24가 아니라 노24” 뭇매
- 해킹 사태 겪은 SKT, 대리점에 180억 지원...2500만 이용자 대책은 감감무소식
-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 파문 일파만파...교보문고는 책 빼고 네이버·카카오는 웹툰 내리고
- 정부 몽둥이에 백기 든 SKT, 위약금 면제 결정...기간 두고 소비자 불만 여전
- SKT, 위약금 면제 기간 끝나자 해킹 피해 조회 열어...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 대부분 털렸다
- 보안 강화는 공염불이었나...50일 만에 또 랜섬웨어 당한 예쓰24, 해커들 ‘맛집’ 전락
- SKT·KT·롯데카드 잇단 해킹에 소비자 피해 심각..."기업 고위급 보안 개념 없는 세대" 지적도
- 해킹·랜섬웨어 감추기 급급한 KT·예스24, 국가 기관마저 속여...“괘씸하다” 비판 속출
- LG유플러스 "의혹 해소 위해 KISA에 신고할것"
- 통신 3사 이어 이커머스 1위 쿠팡까지 털렸다..."이러다 전국민 주민번호 바꿔야겠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