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측 “해킹 아닌 이벤트 일환”
최근 SNS(인스타그램·페이스북·X 등)를 해킹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가운데 기업들 역시 위협을 받고 있다. 이에 주된 홍보 창구인 SNS 계정 관리와 보안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지난 26일 오후, 국내 백화점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이 해킹을 당했다는 소문이 온라인에 퍼졌다. 해당 계정은 산타클로스가 관리하는 인스타그램 계정이라고 소개하며 관련 피드(게시글)를 올렸다.
![26일 오후 올라온 한 백화점 인스타그램 [사진=인스타그램]](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1/357796_371750_2713.png)
![26일 오후 올라온 한 백화점 인스타그램 [사진=인스타그램]](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1/357796_371749_2621.jpeg)
해당 인스타그램 계정은 27일 대부분 이전으로 돌아왔으나, 산타클로스 소개란은 남아 눈길을 끈다. 이에 온라인에서는 여러 의견이 제기됐다. “백화점의 마케팅이다”는 의견과 “해킹당한 것 같다”는 우려가 주를 이뤘다.
![27일 현재 모 백화점 인스타그램 [사진=인스타그램]](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1/357796_371752_2830.jpg)
해당 백화점 관계자는 “크리스마스 이벤트 관련 마케팅이다”며 “앞으로도 산타 관련 게시물을 올릴 예정이다”고 밝혔다.
해프닝으로 끝난 이번 사례와 더불어 과거 기업들이 해킹당한 사례도 재조명을 받았다. 지난 6월 글로벌 프랜차이즈 햄버거 업체 맥도날드는 인스타그램 계정이 해킹 피해를 입었다. 당시 솔라나 기반 밈코인인 그라이머스 토큰을 홍보하는 데 악용됐다.
본사 계정의 해킹 피해를 지켜본 한국맥도날드는 지난 9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로부터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ISMS)’을 획득하며 정보 보안 체계를 강화했다.
국내 유명 빵집인 대전의 성심당은 지난 5월 자사의 온라인몰 성심당몰이 해킹됐다. 당시 성심당몰은 클릭 시 피싱 사이트로 이동하는 악성코드가 삽입된 정황이 파악하고 긴급점검에 나섰다.
![성심당몰 해킹 당시 성심당 공지문 [사진=성심당]](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1/357796_371751_280.jpg)
최근 SNS 해킹 사례가 이어지자 기업 차원에서 보안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계속됐다. SNS는 기업을 소개하는 창구이자, 고객들과 소통하는 곳인데 해킹 피해를 당하면 기업 이미지가 엉망이 되기 때문이다.
한 소비자는 “운 좋으면 해프닝처럼 가볍게 넘어갈 수 있지만 심각한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도 봤다”며 “기업들이 보다 SNS 계정 관리에 힘을 써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 현대백화점의 명과 암, 더 현대는 웃고 디큐브시티는 울고
- 한화갤러리아가 들여온 햄버거체인 파이브가이즈 5호점도 현대百...선정 이유가?
- 햄버거 토마토 빠졌던 맥도날드 정상화...식재료 수급 정상화에 한숨 돌린 패스트푸드 업계
- 신세계 3분기 실적 공개...백화점·라이브쇼핑·까사 웃고, 면세점·패션 울었다
- 3분기 부진했던 농심, 히트과자 빵부장 신제품으로 반등 노린다
- [단독] 토스트 업계 대부 이삭 토스트, 포켓몬스터와 협업 대흥행
- 또 반복된 롯데 유동성 위기 루머, 주요 계열사 이야기 들어보니
- CU 매장서 인기 크림빵 이물질 혼입 논란...업체 대응 또 도마 위로
- CU·GS25, 자체상표(PB) 캔 주류 희비쌍곡선...세븐일레븐 성적은 어떨까
- 한 달 앞으로 다가온 크리스마스...백화점 3사, 공들여 성탄절 분위기 연출
- 주세법 개정에 막걸리 시장 전세역전...지평 비롯한 대형 업체 웃고 영세업체 울고
-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 매각 발표...롯데그룹 유동성 위기 루머와 연관성은
- 신세계백화점 산타 노이즈 마케팅 대성공...롯데백화점 팔로워 넘었다
- 북유럽 문화 크리스마스 마켓 국내 인기 뜨겁다...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 이어 지자체도 마련
- 신세계 센텀시티점 2년 연속 매출 2조원 돌파...반면 롯데 샌텀시티점은
- 롯데도 신세계도 일부 지점만 호황...갈수록 심해지는 백화점 지역 편차
- 뱀띠 마케팅은 어렵다? 유통업계 전통 깨는 스타벅스·공차·크리스피도넛
- 쇼핑의 상징 백화점, 이젠 옛말 됐다...잇따라 줄폐업 예고하는 원인은
- 서울 명소로 자리한 여의도 더현대, 방문자 수 대비 매출 정말 낮을까
- 긴 설연휴 아울렛 잇달아 정상영업 선언...백화점·대형마트는?
- 와퍼 너마저...22개월 만에 가격 올린 버거킹, 기습 인상 비판 일어
- 햄버거 업체들 정국 혼란 틈타 줄줄이 가격 올렸다?...소비자들 “괘씸해”
- 런던베이글·성심당 약진에 제빵업계 새 바람...파리바게뜨·뚜레쥬르 양강 판도 지각변동?
- 국민 절반이 당했다...경쟁사 털릴 때 자만한 SKT, 거듭된 사과에도 여론 싸늘
- 뚜레쥬르 영업이익 제치더니 들떴나...성심당, 딸기시루 곰팡이 검출에 발칵
- 신세계·현대·롯데 백화점 3사 1분기 모두 울었다...반등 가능할까
- SKT부터 아디다스·디올·테무·알바몬까지...똑같이 개인정보 털렸는데 대응은 제각각
- 롯데리아 신상 햄버거 화제몰이는 성공했는데...가격 비싸고 맛은 호불호 갈려
- 학폭 의혹 부인한 배우 고민시, 미성년자 음주 재조명...스타마케팅 광고주 예의주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