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매장 대비 비수도권 매장 매출차 커져
올해 편의점에 밀려 오프라인 유통채널 1위를 뺏긴 백화점이 그래도 전체 매출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잘나가는 일부 수도권 매장만 매출이 늘어 양극화 현상이 심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달 28일 국내 백화점 매출 1위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매출 3조원을 넘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에는 부산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역시 2년 연속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사진=신세계백화점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61777_377266_5228.jpg)
롯데백화점(잠실점) 역시 26일 2022년 이후 2년 만에 연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내수 침체와 소비심리 악화 등 어려운 환경에도 잠실점은 올해 10%대로 고속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미 롯데백화점 본점 역시 연 매출 2조원을 넘기는 등 승승장구하고 있다.
![롯데백화점 잠실점 [사진=롯데백화점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61777_377265_521.jpeg)
다만 수도권 주요 매장을 제외하면 올해 백화점 전망은 어둡다. 신세계의 경우 부산에서 꾸준한 매출을 올리고 있으나, 롯데는 부산에서도 부진한 성적을 내고 있다. 최근 센텀시티점 매각을 알아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지역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신세계백화점 광주점의 경우 지난해 8233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재작년 대비 4.4% 감소했다. 그나마 신세계백화점은 롯데백화점보다 상황이 낫다.
롯데백화점 마산점의 경우 지난 6월 폐점했다. 지난해 730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국 32개 롯데백화점 중 매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뿐만 아니라 롯데백화점은 이미 실적이 낮은 분당·일산·포항점 등 일부 매장을 매각 후 재임대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수도권 매장의 매출이 높은 것은 외국인 접근성이 좋고 주 구매층의 경제력이 아무래도 지방보다 높기 때문”이라며 “지방의 경우 지역 소상공인들과 갈등 우려도 있어 매출을 끌어올리기 쉽지 않다”고 전했다.
이처럼 수도권 매장과 비수도권 매장의 뚜렷한 양극화는 내년에 더 심해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진행한 ‘2025 유통산업 전망 세미나’에서는 내년 백화점 매출이 올해 대비 역신장할 것이란 주장도 제기됐다.
- 현대백화점의 명과 암, 더 현대는 웃고 디큐브시티는 울고
- 한화갤러리아가 들여온 햄버거체인 파이브가이즈 5호점도 현대百...선정 이유가?
- 신세계 3분기 실적 공개...백화점·라이브쇼핑·까사 웃고, 면세점·패션 울었다
- 한 달 앞으로 다가온 크리스마스...백화점 3사, 공들여 성탄절 분위기 연출
-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 매각 발표...롯데그룹 유동성 위기 루머와 연관성은
- 크리스마스 1개월 앞두고 산타가 점령한 유명 백화점 SNS..."해킹? 마케팅?"
- 신세계백화점 산타 노이즈 마케팅 대성공...롯데백화점 팔로워 넘었다
- 비상시국에도 외국인 필수 관광코스 건재...CJ올리브영·카카오프렌즈 인기 여전
- 북유럽 문화 크리스마스 마켓 국내 인기 뜨겁다...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 이어 지자체도 마련
- 신세계 센텀시티점 2년 연속 매출 2조원 돌파...반면 롯데 샌텀시티점은
- 지마켓·알리, 타도 쿠팡 외치며 손 잡았다...2025년 합작법인 설립 예고
- 쇼핑의 상징 백화점, 이젠 옛말 됐다...잇따라 줄폐업 예고하는 원인은
- 서울 명소로 자리한 여의도 더현대, 방문자 수 대비 매출 정말 낮을까
- 긴 설연휴 아울렛 잇달아 정상영업 선언...백화점·대형마트는?
- 새로운 쇼핑 패러다임 제시한 신세계 스타필드, 어떻게 사람 모았나
- 알리바바이어 BYD까지...中 기업과 잇따라 협업하는 신세계, 비판받는 이유는
- “SNS는 인생의 낭비”...퍼거슨 명언, 우리나라 기업 총수들은 어떨까
- 롯데, 자판기 이어 ATM까지 팔았다...유동성 확보 총력
- 칠성음료에서 쇼핑으로...롯데 신동빈 회장, 위기의 롯데쇼핑 구원하나
- 자판기·ATM 이어 네스카페까지? 롯데·네슬레 12년 만에 결별 수순, 왜?
- CGV 희망퇴직에 롯데시네마·메가박스는 폐점...극장가 칼바람 유통업계까지 영향
- 한 잔 최고 48만원 바샤커피, 인증샷 좋아하는 국내 소비자 취향 저격했다
- 노브랜드, 백종원과 악연 사과당과 협업에 시선집중...오너 관계도 관심
- 이마트, 영업이익 240% 늘며 나홀로 독주체제 굳힐 기세...SSG닷컴 부진은 고민거리
- 신세계·현대·롯데 백화점 3사 1분기 모두 울었다...반등 가능할까
- SK 최태원은 고소 취하, 신세계 정용진은?...악성 루머 유포 네티즌 고소 선언...실제 처벌로 이어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