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침체 속 성장해 더욱 주목
올해 밸런타인데이 시즌, 편의점 3사가 매출 상승과 함께 내실 다지기에 성공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CU, GS25, 세븐일레븐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 이상 높은 매출을 기록하며 경기 둔화 속에서도 강한 소비력을 입증했다.
특히, 코코아 원재료 가격 급등으로 초콜릿 비중을 줄인 대신, 젤리·캔디·주류 등 다양한 상품군을 강화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공격적 확장 대신 수익성 개선에 집중하는 가운데, 이번 실적이 편의점 업계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지 주목된다.
CU는 지난해 밸런타인데이 기간(2/8~14)보다 11.6% 매출이 올랐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초콜릿보다 특화 상품 매출이 크게 올라 더 고무적이었다. 최근 초콜릿 원재료인 코코아 가격의 급등으로 편의점 업계는 밸런타인데이 행사에 초콜릿 관련 제품 비중을 낮췄다.
![CU 밸런타인데이 행사 [사진=BGF리테일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2/367575_384687_2041.jpg)
실제 다른 제품군들의 판매량도 늘었다. CU는 “캔디 17.5%, 젤리 15.7%, 디저트 13.1%, 양주 12.0%, 와인 11.8% 등의 품목 매출도 전년 대비 두 자릿수로 올랐다”고 밝혔다.
세븐일레븐 역시 지난해(2/1~14)보다 올해 매출 신장률 15%를 기록했다. GS25 역시 지난해(2/8~14)보다 초콜릿 24.3%, 젤리 38.0%, 밸런타인데이 기획세트 판매량이 18.8% 증가했다고 밝혔다.
편의점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올해 경기 상황은 어렵지만, 초콜릿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제품을 판매한 것이 주요했다”며 “올해 첫 대형 행사를 잘 보낸 만큼 다가오는 화이트데이 행사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편의점들은 그야말로 포화 상태였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4대 편의점 점포 수는 CU 1만8458개, GS25 1만8112개, 세븐일레븐 1만2152개, 이마트24 6130개 등 5만4852개로 집계됐다.
5만5000개에 육박하는 점포 수에 힘입어 지난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연간 주요 유통업체 매출 현황에 따르면 백화점 비중이 17.4%를 차지해 1위 자리를 지켰다. 편의점은 매출 비중 17.3%로 오프라인 2위를 차지하며 백화점을 0.1%포인트라는 근소한 차이로 뒤쫓았다.
그러나 편의점들의 수익성은 악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CU는 재작년보다 영업이익이 0.6% 줄었고, GS25는 10.9%나 줄었다. 그나마 두 업체는 매출은 증가해 체면치레는 했지만,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는 매출도 감소해 우려를 자아냈다.
이에 업체들은 올해 공격적 확장보단 내실 다지기에 주력하고 있다. 경쟁력 있는 상품을 계속 개발하고 다양한 협업을 통해 수익성 끌어올리기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첫 대형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쳐 기대감을 주고 있다.
- 1인 가구 느는데 대용량이 통한다고?...편의점들이 대용량 제품 내놓는 이유
- 한 캔은 서운한데 두 캔은 또 많고...대세로 떠오른 대용량 맥주
- 흑백요리사 끝난 지 벌써 석 달인데...세븐일레븐의 한 박자 늦은 콜라보 눈길
- 세븐일레븐·GS25·CU, 하이볼부터 와인볼·막스키까지 믹스주 전쟁...술은 섞어야 제맛?
- 레모나 하이볼 등 일부 하이볼 위스키 안 들었다...소비자 불만에도 합법이라고?
- 점포수 5만5000개로 포화된 국내 편의점 시장...CU·GS25·세븐일레븐 올해 전략은
- 추성훈 유튜브로 관심받은 日 세븐일레븐 즉석 스무디, 한국서도 돌풍 일으킬까
- 백화점에서 화장품 구매는 옛말...올리브영·다이소·쿠팡·CU로 몰린다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은 옛말...CU·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중심 굿즈 대세로
- CU·엔젤루카, GS25·무신사, 화장품 이어 옷까지...편의점이 변신한다
- 국내외 할 것 없이 물량 부족하다...불닭볶음면, 편의점 발주 멈춰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제조 업체는 울상인데...유통업체는 싱글벙글 왜?
- 불닭 강세에 자존심 상한 농심, 툼바로 반등 노린다...잇단 해외 진출에 마케팅 전략도 관심
- GS25 X 니케 대흥행...경품 응모 나이제한 두고 일부 소비자 불만 왜?
- 한때 손길 덜 가던 PB 상품, 고물가에 날개 달아...편의점 PB 매출도 늘었다
- 올해도 찾아온 화이트데이, CU·GS25·세븐일레븐 편의점별 여심 저격 전략은
- 키우는 고양이가 손님보다 소중하다?...CU, 손님 비꼬는 편의점주 글 논란
- 뒷광고 논란 원천 차단...GS25, 대놓고 앞광고 제품 선보여 주목
- 더 심해진 편의점 양극화...CU·GS25 웃고, 세븐일레븐·이마트24 울고
- 편의점 호시절 다 갔나...CU 31%, GS25 34% 영업이익 급감 충격파
- 신세계·현대·롯데 백화점 3사 1분기 모두 울었다...반등 가능할까
- 편의점 본고장 일본에 역수출하는 CU·GS25...일본 돈키호테 진출
- MZ세대 취향 저격! 얼박사·갈배사이다·짜파구리...섞으면 다 맛있다?
- 국내서 CU·GS25·세븐일레븐에 밀린 이마트24, 업계 최초로 인도 노크하는 이유는
- GS25, 돈키호테 팝업 첫날 운영 미숙 논란...찜통 더위에 몰린 소비자들 분통
- GS25-돈키호테 이목 끌자 CU 디즈니로 응수...여의도 더현대는 편의점업계 전쟁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