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기아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3사가 전기차 배터리 안전 강화 기술개발 협력을 발표하고, 향후 협력을 고도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한 국가에서 자동차 제조사와 배터리 기업이 모두 연합해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 기술 확보를 추진하는 첫 사례다.
작년 8월 현대차·기아가 제안한 배터리 안전확보 TFT를 중심으로 1년간 협업이 진행됐다. 협업 과제로는 안전 특허, 디지털 배터리 여권, 설계 품질, 제조 품질, 소방 기술 등 5대 분야가 선정됐다. 이를 통해 단락 방지 기술 등 공유 특허를 도출하고, 배터리 품질 추적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설계와 제조 과정에서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기준도 마련했다.
또한 소방청과 협력해 배터리 화재 감지 및 진압 기술을 공동 연구하고,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를 개정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협약을 통해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안전 신기술 개발과 특허 공유를 지속하고, 열전이 방지와 소방 기술 고도화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안전 표준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기아 R&D본부 양희원 사장은 “이번 협력은 현대차·기아 및 배터리 기업 경영층의 의지, 연구진들의 헌신과 전문성, 그리고 정부 부처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앞으로도 배터리 기업과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기차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김동명 사장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국가 대항전'으로 우리가 살아남는 길은 경쟁을 넘어선 협력”이라며 “정부와 기업이 한 팀을 이루고, LG에너지솔루션도 대한민국의 미래 경쟁력을 위해 끝까지 달리겠다”고 말했다.
삼성SDI 대표이사 최주선 사장은 “이번 협업은 단순한 기술 개선이 아닌 산업 안전 기준과 기술 방향을 새롭게 정의한 진보로, 생태계 전반의 책임 있는 변화"라며 "삼성SDI는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배터리 기술을 개발해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SK온 대표이사 이석희 사장은 “K-배터리 3사가 현대차·기아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안전을 위해 힘을 모았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배터리 안전 품질이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SK온은 고객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배터리 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현대차·기아, 소프티어 부트캠프 통해 소프트웨어 인재를 어떻게 양성하나?
- 현대차·기아 E-FOREST센터와 서울대, 미래형 스마트 공장 구축을 위한 협력 방향은?
- 현대차·기아는 워커힐과 손잡고 어떤 미래 모빌리티 호텔 모델을 추진하나?
- 현대차·기아는 왜 국토부·교통안전공단과 커넥티드 DTG 협약을 체결했나?
- 현대차·기아, 착용로봇 엑스블 숄더로 산업 현장 안전성과 효율성 모두 잡았나?
- 한국에너지공단,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에서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과 국제 콘퍼런스 개최
- 현대차·기아, 전기차 안전 확보 위해 어떤 종합 대책을 내놨나?
- 현대차 ‘호프 온 휠스’, 누적 기부 성과와 지원 규모는?
- 中, 2027년부터 전기차 매립형 손잡이 금지 검토...현대·기아·테슬라 등 업계 대응책 고심
- 현대차, 영업이익률 6~7%·하이브리드 신차 등 전략 발표…산재한 문제 해결은 어떻게
- 현대차·기아, 탄소 저감 스틸벨트 개발로 친환경 타이어 혁신 이끌까?
- ‘자동차의 눈’ 헤드램프 누랗게 변해…계속되는 기아차 주간주행등 황변 논란, 왜?
- 먹통 된 테슬라·불탄 벤츠·탈출 못하는 샤오미…‘전기차 포비아’에 구매심리 급랭
- 현대차·기아, 2025 R&D 협력사 테크 데이에서 어떤 혁신 기술을 공개했나?
- 美 알루미늄 공장 화재로 자동차 공장 줄줄이 가동 중단…현대차·SK온 등 국내 기업 온도차
- 삼성SDI, 테슬라 ESS 배터리 공급 논의…전기차 시장 둔화·탈중국 흐름 타고 도약할까
- 현대차·기아·미쉐린 타이어 기술 협력의 주요 내용은?

